"한국의 해외건설, 공적원조 확대해야"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2010.10.21 07:52
글자크기

가격경쟁 심한 중동 편중, 중남미 등 시장 확대 필요

한국 건설사들이 중동 건설시장에 올인하고 있는 동안 일본 건설사들은 아시아 건설시장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건설사들이 가격경쟁이 치열한 해외건설시장에서 고군분투하는 동안 일본 건설사들은 일본 정부의 막대한 공적원조 수혜에 힘입어 아시아 건설시장에 무혈입성하고 있다.

2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 모두 국내 건설시장이 침체를 겪으면서 건설사들이 해외건설시장에서 활로를 찾고 있지만 수주집중 지역이나 발주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선 수주지역 차이를 보면 10월 현재 578억달러로 사상 최대 수주액을 기록 중인 한국의 경우 중동이 438억달러로 75.7%를 차지해 중동 편중 현상이 유지되고 있다. 아시아는 101억달러(17.4%)에 그쳤고 중남미 15억달러(2.5%), 북미 12억달러(2.0%) 등이다.

반면 일본은 아시아 비중이 높았다. 일본은 지난해 7000억엔(20일 원/엔 환율기준 원화 976조원) 가량을 수주했는데 아시아가 5344억엔으로 77%에 달했고 북미 954억엔(14%), 동유럽 146억엔(2%), 아프리카 148억엔(2%), 중동 89억엔(1%), 중남미 68억엔(1%), 유럽 87억엔(1%) 등의 순이었다.



"한국의 해외건설, 공적원조 확대해야"


한국이 중국, 터키 등의 건설사들이 대거 진입하면서 덤핑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중동에 올인하고 있는 동안 일본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아시아와 북미 시장을 두드리고 있는 것이다.

또 발주자를 비교해보면 일본의 경우 자국 건설사들이 반드시 수주할 수 있는 공적원조 시장이 막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지난해 수주액을 발주처별로 분석하면 △현지정부 발주 1838억엔 △현지기업 발주 2185억엔 △일본 건설사 투자 1562억엔 △엔차관 878억엔 △무산원조 496억엔 △국제금융기관 9억엔 등이다. 엔차관과 무상원조 등 공적원조가 1374억엔(20일 원/엔 환율기준 원화 191조원)으로 전체 수주액의 20%에 달한다.


"한국의 해외건설, 공적원조 확대해야"
반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EDCF(대외경제협력기금) 개발사업차관 집행실적과 KOICA(한국국제협력단) 프로젝트 자금집행 실적은 2613억원, 1787억원에 불과했다. 지난해부터 정부가 2조원대의 글로벌인프라펀드를 조성하고 있지만 지난해와 올해 두차례에 걸쳐 2000억원씩 총 4000억원 조성에 그쳤다.

이처럼 일본이 아시아시장을 선점할 수 있었던 것은 아시아 국가들이 인프라 수요는 폭증하고 있지만 빈곤국가들이 많아 개발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운 점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올해부터 2020년까지 아시아 인프라 정비에 8조달러(연평균 7260억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했다. 연평균 7000억달러 이상이 필요하지만 2007년 기준으로 실제 투입된 자금은 290억달러에 불과하다. 그동안 건설업계를 중심으로 공적원조 확대 필요성이 제기된 것도 이 때문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해외건설시장에서는 수익형민자사업(BOT)과 자원연계 인프라개발 등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필요한 프로젝트가 증가하고 있다"며 "민간투자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공적원조는 물론 연기금 및 기관투자가들의 투자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