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살릴 마지막 기회", 새만금에 3GW 발전시설

머니투데이 김희정 기자 2018.10.30 11:30
글자크기

새만금에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부지 외 해역엔 풍력단지… 10조 민간투자 유입

새만금 부지 내 태양광 등 3GW 발전사업 추진 지역/자료제공=새만금개발청새만금 부지 내 태양광 등 3GW 발전사업 추진 지역/자료제공=새만금개발청


새만금 사업지역 중 소음, 고도제한 등이 있는 공항 인접지역과 개발수요가 낮은 지역을 대상으로 세계 최대규모인 3GW급 태양광발전설비와 재생에너지 클러스터가 구축된다.

2022년까지 태양광 2.4GW, 해상풍력 0.6GW(새만금 외측 0.5GW, 내측 0.1GW)규모의 발전시설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새만금을 세계적 재생에너지 산업의 메카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국제협력용지, 산업연구용지 남·동측, 방수제·저류지 등을 포함해 총 28.29㎢ 규모로 새만금 전체면적의 9.36%에 달한다.



새만금 외측 군산 인근 해역의 177㎢ 규모 부지에는 2026년까지 민간자본 4조원을 유치해 GW급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한다. 협동조합이나 펀드를 통해 지역주민이 주주로 사업에 참여하거나 지역업체·인력 참여 및 지역기자재 우선 구매를 통해 수익을 지역사회와 공유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새만금개발청(청장 이철우)과 전라북도(도지사 송하진)는 30일 군산 유수지 수상태양광부지(전라북도 군산시 비응도동 19)에서 새만금 재생에너지 비전선포식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새만금권역에 세계 최고 재생에너지 발전단지를 조성해 새만금 내부개발에 속도를 내고 침체된 지역경기를 살리는 마중물 사업이다.



새만금권역 태양광·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에는 10조원의 민간 투자자금이 유입되고 연인원 약 2백만 명의 건설인력이 참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10년간 재생에너지 연관기업 100개를 유치하고 양질의 일자리 10만개를 창출해 25조원의 경제유발 효과가 기대된다는 계산이다.

이에 따라 새만금 내측에 세계 최대 규모인 3GW급 태양광 발전단지가 조성되고 새만금 외측인 군산 인근 해역에는 GW급 해상풍력단지가 조성된다. 수상태양광과 해상풍력 제조산업단지를 건설하는 한편 물류공급을 위한 해상풍력 배후항만을 구축하고 제조기업도 유치하겠단 계획이다.

새만금 사업지 외 인근 해역 GW급 해상풍력단지 추진지/자료제공=새만금개발청새만금 사업지 외 인근 해역 GW급 해상풍력단지 추진지/자료제공=새만금개발청
아울러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고 기술 사업화, 인력양성 등을 지원해 새만금이 재생에너지의 혁신거점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국가종합실증연구단지와 해상풍력 핵심부품 성능평가센터, 융합시험인증평가센터, 인력양성센터 등이 대표적이다.


다만 새만금개발청은 새만금 사업지역 내에선 소음, 고도제한이 있는 공항 인접지역과 개발 수요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으로 한해 재생에너지 사업 부지를 제한키로 했다. 또 해당 사업부지 역시 20년간 운영한 후 사업의 지속성 여부를 판단해 운용하겠단 입장이다.

재생에너지사업은 새만금에서 가시적으로 추진되는 첫 사업이다. 새만금개발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고용위기지역인 군산 등 지역 경제에 온기를 지필 계기를 마련했다. 연관 기업의 투자가 활성화되는 한편 발전수익 일부를 용지조성에 재투자함으로써 새만금 내부 개발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글로벌 경제협력 중심지를 세운다는 새만금기본계획에 반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을 비롯해 해외기업들의 투자유치를 이끌지 못하자 결국 국내기업의 수요가 많은 태양광사업으로 방향을 튼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지난해 새만금 남북도로가 착공됐지만 새만금은 여전히 항공·철도 등 교통 인프라가 열악한 상황이다.

새만금개발청 관계자는 "기존 마스터플랜을 접는 게 아니라 마중물 사업으로 당장 지역경제를 위해 할 수 있는 사업을 하는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관련 건설인력은 현대중공업이나 GM 퇴직자들이 당장 참여할 수 있고 하루 5000명 가량 일자리가 생긴다. 군산을 살릴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라고 말했다.

한편 새만금개발사업은 군산~부안을 연결하는 세계 최장 방조제 33.9㎢를 축조해 간척토지 291㎢와 호소 118㎢를 조성하고 글로벌 자유무역과 경제협력 중심지를 짓는 국책사업이다. 1989년 새만금사업기본계획이 수립된 후 30년째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