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해방군이 대만 해협으로 쏜 장거리 미사일. /ⓒ로이터=뉴스1
"이번 중국 당대회에서 대만 통일에 대한 시진핑 주석의 강경한 입장을 확인했어요. 대만에서 언제 어떤 일이 벌어질 지 모르니 유사시 대응 전략을 수립할 계획입니다." (일본의 한 반도체 기업 임원)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지난달 19~28일 대만에 진출해 있는 일본·미국·유럽 등 대기업 50곳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을 실시한 결과 절반에 달하는 23곳(46%)이 대만 유사시 계획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2일 전했다.
특히 일본계 금융기업이나 유럽 에너지 기업 등 4곳(8%)은 이미 유사시 계획 수립이 끝났다. 주재원이나 가족 대피 계획 뿐 아니라 사업 지속 방안도 강구했다. 현재 유사시 대응안을 마련 중인 기업은 19곳(38%)이었다. 21개 기업(42%)은 유사시 전략 마련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대만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거의 대부분 외국계 기업들이 중국의 침공을 사업 변수로 판단하고 있는 셈이다.
구체적인 대응 방안으로는 항공권 사전 예약을 꼽은 기업들이 많았다. 이미 주재원과 그 가족들의 대피를 위해 1년간 유효한 일본 나리타행 항공권을 확보한 금융기업도 있다.
이 시각 인기 뉴스
(타이베이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3일(현지시간) 타이베이 총통부에서 외국인에 주는 최고 등급 훈장인 특종대수경운 훈장을 받고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 화학 대기업은 유사시 대처를 위해 주재원 수를 줄였고, 한 반도체 기업은 통신 차단에 대비해 위성전화를 도입했다. 대만에 있던 서버 데이터를 이미 일본으로 옮긴 회사도 있다.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해 대만에 있는 기술 관련 서류를 어떻게 파기할 지 미리 검토 중이라는 응답도 나왔다.
대만 진출 기업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지난달 22일 끝난 중국 공산당 제20차 당대회 이후 확산되고 있다. 당시 시 주석은 "대만에 대한 무력 행사 포기를 절대로 약속하지 않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지난 8월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이후 대만해협에서 무력 시위를 벌여 온 이후 '하나의 중국' 기조를 재확인한 것이다. 중국이 오는 2027년까지 군 현대화를 통해 대만을 침공할 준비를 끝낼 것이라는 관측이 쏟아진 것도 한 요인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0월 20차 중국 공산당 당대회 현장에서 인사를 건네고 있다. /ⓒAFP=뉴스1
세계 1위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인 대만의 TSMC 향방에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한 반도체 기업 관계자는 "TSMC 공장이 멈추면 대만 진출 기업의 상당수가 사업을 지속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며 "전 세계적으로도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