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100만 디지털 인재' 키운다"…MZ세대-기업 '윈윈' 주목

머니투데이 이원광 기자, 하수민 기자 2022.01.11 15:20
글자크기

[the300](종합)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이달 2일 서울 마포구 소재 더불어민주당 미래당사 '블루소다' 개관식에 참석해 2030 청년리스너가 직접 작성한 편지를 받고 미소를 짓고 있다. / 사진제공=뉴시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이달 2일 서울 마포구 소재 더불어민주당 미래당사 '블루소다' 개관식에 참석해 2030 청년리스너가 직접 작성한 편지를 받고 미소를 짓고 있다. / 사진제공=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00만명의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해 '한국식 휴먼 캐피털'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11일 밝혔다. 최대 1500만원의 교육비를 지원하고 취업·창업 후 일정 수준 소득이 발생하면 일부를 상환하는 방식이다.

원하는 국민 누구나 코딩 등 소프트웨어(SW) 교육을 받게 한다는 공약도 내놨다. 디지털 전환 시대를 선도할 인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동시에 기업과 MZ세대(밀레니얼 세대+Z세대) 등 일자리 공급·수요자 간 '윈-윈' 해법이 될지 주목된다.



이재명 "휴먼 캐피털 도입…디지털 미래인재 100만명 양성"
이재명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디지털·혁신 대전환위원회 1호 발표회'에서 "디지털 대전환은 디지털 인재로 대비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선 이 후보는 '휴먼 캐피털'(가칭) 제도를 도입해 디지털 미래인재 100만명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연간 20만명씩 임기 중 총 100만명의 미래인재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휴먼캐피털은 SW(소프트웨어), AI(인공지능) 등 디지털 역량 확충을 위한 교육비를 정부가 '선' 지원하고 취직 '후' 일부를 갚는 방식이다. 최대 1500만원의 교육비를 이원하고 취업이나 창업 후 일정 수준 이상 소득이 발생하면 교육비의 일정비율(약 70%)을 상환하면 된다. 구체적인 상환 비율은 논의 중이다.

해당 제도는 교육 효과성은 물론 재정부담 완화 측면에도 무상 직업훈련교육 제도와 다른 장점이 있다는 게 이 후보 설명이다. 취직 후 일부를 갚는 자기 책임의 원칙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신경제 비전선포식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뉴시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신경제 비전선포식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뉴시스

"원하는 국민 누구나 SW 교육"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정규교육도 강화한다. 초·중·고교에서 정규교육이나 방과 후 교실을 통해 SW 교육 시간을 최소 주 1시간 이상으로 대폭 확대한다. 또 군 SW·AI 분야 전문 복무를 확대해 교육이나 경력이 중단되는 것을 막고 군을 인재 양성의 요람으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더 나아가 원하는 국민 누구나 SW 교육을 받도록 지원한다고 이 후보는 강조했다. 이 후보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SW와 코딩은 읽기, 더하기, 빼기 같은 필수소양이자 도구"라며 "키오스크에서 뒤돌아 서는 어르신이 없고 디지털 전환의 혜택을 국민 누구나 골고루 누리도록 SW와 코딩 등 전국민 디지털교육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디지털 '멘토·매니저·튜터' 등으로 5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도 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소양을 갖춘 은퇴자, 경력단절자, 대학생, 대학원생, 취업준비생을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도와주는 '디지털 멘토'로 육성하고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의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디지털 매니저'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디지털 튜터'는 초등학교나 지역의 디지털 배움터에서 SW 교육이 필요한 분들을 위한 교육을 담당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신경제 비전선포식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뉴시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신경제 비전선포식을 하고 있다. / 사진제공=뉴시스
이재명 정부는 '메타정부'…'디지털 대전환' 135조원 투자
또 차기 정부는 디지털 역량을 강화한 '메타정부'(메타버스정부)가 될 것이라고 이 후보는 밝혔다. 마스크 애플리케이션 개발이나 백신 예약 시스템 등 사례를 언급하며 '일방통행' 식의 디지털 정부를 넘어 민관 협업·참여 기반의 메타버스 정부로 나아간다는 설명이다.



최고정보관리책임자(CIO) 제도를 전 공공기관으로 확대한다. 민관 협업·참여 등 거버넌스 강화를 위해서다. 전 공공기관의 정책 결정과 집행 단계에서 디지털 기술에 대한 배려와 이해를 반영한다는 취지다.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135조원 규모의 투자도 추진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매년 예산의 3%를 디지털 전환에 투자한다. 임기 내 △물적, 제도적, 인프라 투자에 30조원 △전통산업의 디지털 전환, 신산업 영토확장, 창업기업 성장지원에 40조원 △디지털 주권 보장에 15조원 등 총 85조원의 국가 재정을 투자한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디지털 전환 준비를 위해 약 20조원을 대응 투자하도록 하고 민간에서도 30조원 이상의 투자를 이끌어낸다.

MZ세대에 양질 일자리…기업 '디지털 인재' 수요도 충족

디지털 미래인재 100만명 양성 정책은 디지털 전환은 물론 채용 시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MZ 세대에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한편 디지털 인재를 바라는 기업 수요도 충족한다는 설명이다.



이 후보는 "디지털 시대를 대비하기에는 디지털 인력 자체가 매우 적다"며 "기업들은 필요로 하는 수준을 갖춘 인재를 찾기가 어렵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력을 키워내는 것이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에 도약의 기회를 만드는 첫 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이달 10일 서울 동작구 대방동 페이스살림에서 열린 일하는 여성을 위한 스타트업 대표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 사진제공=뉴시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이달 10일 서울 동작구 대방동 페이스살림에서 열린 일하는 여성을 위한 스타트업 대표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 사진제공=뉴시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