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거론되는 내용은 검찰 조사결과 시점이다. 지난해 10월 경찰은 남양유업의 홍 전 회장을 포함해 8명을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홍 전 회장의 집무실을 압수수색하고 컴퓨터와 휴대전화를 확보한 뒤 내린 결과여서 경찰은 홍 전 회장의 유죄 입증이 충분하다고 봤다. 검찰 역시 홍 전 회장의 기소 여부를 면밀하게 검토한 것으로 전해진다.
홍 전 회장 측이 매일유업에 적극적으로 사과수용을 요청한 것도 비슷한 시기다. 남양유업은 수사가 본격화된 이후 줄곧 매일유업에 구애를 보냈다. 그러다 홍 전 회장이 경영권을 내놓고 회사를 한앤컴퍼니에 매각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매일유업도 대승적 차원에서 사과를 수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남양유업이 매일유업의 사과 수용을 지렛대 삼아 '공정경쟁'을 운운하고 나서면서, 매일유업에 사과를 종용한 것이 홍 전 회장 일가의 재판을 염두에 둔 행위가 아니냐는 의심이 커진다. 경쟁기업을 비방한 기업이 피해기업이 해야 할 목소리를 대신 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남양유업이 사과문을 낸 뒤 변화의 계기로 삼겠다는 보도가 나온 것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사과문이 이미지 세탁을 위한 도구로 사용된게 아닌가 의심된다"고 말했다.
업계의 예상과 달리 검찰 인사 시점이 지나도록 남양유업에 대한 수사결과가 발표되지 않으면서 홍 전 회장을 비롯한 임직원에 대한 기소 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매일유업이 남양유업에 대한 사과를 받아들임에 따라 명예훼손 사건에 대해선 '공소권 없음'으로 종결될 전망이지만 업무방해에 대해선 재판이 이어질 전망이다.
오는 6일로 예정된 세종시의 남양유업 세종공장 영업정지 처분 결과도 초미의 관심사다. 업계에선 세종시가 지역경제 피해를 이유로 과징금으로 대신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앞서 남양유업은 불가리스의 코로나19(COVID-19) 효능 과장 연구발표 논란으로 세종공장 영업정지 2개월 사전통보를 받은 바 있다.
세종시가 영업정지 대신 과징금 처분을 내릴 것이란 예상이 유력한 가운데, 거론되는 과징금은 8억원대 초반 수준으로 전해졌다. 다만 세종시는 국민 여론 등을 고려해 막판까지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관련해 남양유업 관계자는 "사과문은 과거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사과일 뿐, 다른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라며 "영업정지나 과징금 처분에 대한 통보는 아직까지 전달받은 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