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친환경차 133만대 다닌다

머니투데이 세종=박경담 기자 2020.07.22 14:00
글자크기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후 청와대 녹지원 앞에서 박계일 현대차 공정기술과장으로부터 대통령 전용차로 도입된 수소차 넥쏘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청와대 제공)2019.8.27/뉴스1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후 청와대 녹지원 앞에서 박계일 현대차 공정기술과장으로부터 대통령 전용차로 도입된 수소차 넥쏘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청와대 제공)2019.8.27/뉴스1


정부가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를 보급하겠다고 22일 밝혔다. 내연기관차 일변도의 수송 체계를 깨고 친환경차를 대폭 늘린다는 구상이다.

현재 11만3000대 규모인 전기차는 2025년까지 100만대 넘게 보급한다. 승용차, 버스, 화물차를 모두 더한 수치다. 올해 2만2000대인 충전 기반시설은 4만5000기까지 확충한다.



전기차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차량의 절반 가량(국고+지방비)을 지원하는 보조금은 최대 2025년까지 지원한다. 전기차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전시·체험 시설을 갖춘 명소형 충전소 4곳도 구축할 예정이다. 전기차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성능·부품 개발 사업에 1300억원을 지원한다.

또 신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충전기 의무대상 범위와 설치수량을 확대한다. 급속충전기에만 한정됐던 충전 방해행위 과태료 부과기준은 완속충전기까지 적용한다.



수소차는 지난해 5000대에서 2025년까지 20만대로 늘리겠다는 목표다. 수소차는 전기차보다 주행거리가 길고 충전시간은 짧은 장점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장거리 여행에 필요한 중·대형 스포츠실용차량(SUV), 중장거리 버스, 중대형 화물차 등을 중심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화물차 등 사업용 수소차에 대해선 유가보조금처럼 연료보조금을 지급한다. 차량 연료 중 가장 저렴한 전기 충전요금 수준까지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원액은 수소버스 기준 1kg당 3500원이다. 수소차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충전소는 2025년까지 450기를 만든다.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노후 경유차 퇴출은 속도를 낸다. 2024년까지 저공해화 미조치 차량을 거리에서 사라지게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2005년 이전에 생산된 노후 경유차 등록 대수는 지난달 말 기준 184만대다. 이 중 저공해 조치가 필요한 차량은 152만대다.


환경부는 내년부터 2024년까지 노후 경유차 116만대에 대해선 조기 폐차 보조금, 31만5000대는 매연저감장치 부착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1톤 트럭 13만5000대, 어린이 통학차량 8만8000대는 액화석유가스(LPG) 차량 전환을 지원하기로 했다.

2025년까지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필요한 예산은 지방비를 포함해 20조3000억원이다. 환경부는 이를 통해 일자리 15만1000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종원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전기·수소차 확대를 포함한 자동차 부문 친환경 전환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함께 산업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하는 그린뉴딜의 대표주자"라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와 기후·환경위기 극복을 위해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전환사업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