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금 빨리 낼래요" 입주아파트 이상 풍경

머니투데이 송지유 기자 2011.12.26 06:00
글자크기

취득세 50% 감면종료…분양가 5억 아파트 내년 세금 500만원 더 내야

↑올 연말 취득·등록세 50% 감면 혜택 종료를 앞두고 입주아파트마다 잔금을 서둘러 내는 계약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일부 단지의 경우 잔금을 연내 낼 수 있도록 준공 일정을 앞당겨 줄 것을 요구하는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입주를 시작한 서울 동작구 본동 '래미안 트윈파크'. ⓒ삼성물산 제공↑올 연말 취득·등록세 50% 감면 혜택 종료를 앞두고 입주아파트마다 잔금을 서둘러 내는 계약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일부 단지의 경우 잔금을 연내 낼 수 있도록 준공 일정을 앞당겨 줄 것을 요구하는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입주를 시작한 서울 동작구 본동 '래미안 트윈파크'. ⓒ삼성물산 제공


 "지금 살고 있는 전셋집이 안빠져서 자금이 부족하지만 부모님과 누나한테 돈을 빌려서 이달 안에 잔금을 치르기로 했어요. 한 푼이 아쉬운 불경기인데 세금이라도 아껴야죠. 하루 늦었다고 세금 500만원을 더 내는 건 억울하잖아요. 세금감면액으로 중개수수료 내고 이사비용으로도 쓰려고요." (직장인 A씨)

 "이달 내내 준공일정을 앞당겨달라는 계약자들의 요구가 빗발쳤어요. 1∼2주라면 몰라도 1∼2개월씩 입주시기를 앞당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마무리공사 서둘렀다가 하자가 증가하면 그것도 골치아프고요. 얼마 전까지만해도 잔금납부기간 연장해달라더니 이번엔 잔금 빨리 내겠다고들 난리네요."(B대형건설사 고객서비스담당 임원)



 올 연말 주택 취득·등록세 50% 감면혜택 종료를 앞두고 입주(예정)아파트 현장에서 진풍경이 펼쳐지고 있다. 납부마감일 전인데도 서둘러 잔금을 내는 계약자가 증가하는가 하면 연내에 잔금을 낼 수 있도록 아파트 준공일정을 앞당겨달라는 요구도 잇따르고 있다.

 이는 "부동산경기 침체로 기존 집이 팔리지 않아 자금마련이 어려우니 잔금납부기간을 3개월 이상으로 연장해달라"는 계약자들의 기존 요구와 상반된 것이다. 통상 새 입주아파트 잔금납부기간은 입주 시작 후 2개월이며 이 기간 안에 잔금을 내지 않으면 지체 이자를 물어야 한다.



 26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 입주를 시작한 서울 중구 신당동 '신당e편한세상'(895가구)의 잔금납부율은 평균 40%에 달한다. 입주를 시작한 지 10일 만에 350여가구가 잔금을 낸 셈이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입사 이후 줄곧 아파트 분양대금 관리를 해왔는데 열흘 만에 잔금납부율이 이렇게 높은 단지는 처음"이라며 "일반적으로 납부마감일 직전에 잔금을 내는 경우가 많은데 취득세 감면혜택 때문인지 서둘러 잔금을 내는 고객이 많다"고 말했다.

 지난 10월과 11월 각각 입주를 시작한 서울 중구 신당동 '래미안 하이베르'(945가구), 동작구 본동 '래미안 트윈파크'(432가구)도 상황은 비슷하다.


'래미안 하이베르'의 잔금납부율은 약 75%, '래미안 트윈파크'는 약 50%. 삼성물산 관계자는 "이달 말까지 잔금을 내겠다는 의사를 밝힌 고객들까지 합하면 두 단지 모두 잔금납부율이 80%를 웃돌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에 잔금을 내면 취득세가 수백 만원씩 늘어나는 만큼 앞서 입주한 단지들보다 잔금납부 속도가 다소 빠르다"고 설명했다.

 동작구 본동의 C중개업소 사장은 "오는 30일과 31일 막판 잔금거래 약속이 빽빽이 잡혀 있다"며 "매수자들 대부분 고스란히 세금을 내느니 대출을 받아 1~2개월 이자를 내는 편이 낫다고 판단하는 것같다"고 말했다.

 인천 청라지구 '청라 SK뷰'와 '청라 엑슬루타워'는 계약자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준공·입주일정을 앞당기기로 했다. SK건설 관계자는 "계획대로 내년 초 입주를 시작하면 분양가가 3억원인 가구는 300만원, 4억원인 가구는 400만원을 더 내야 한다"며 "공사가 거의 끝나 조기입주가 가능하다고 판단해 계약자들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올 연말 취득세 감면 혜택이 끝나면 내년초 주택 거래가 급감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한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실장은 "부동산경기 침체의 골이 깊어 절세재료가 사라지면 주택거래가 다시 얼어붙을 가능성이 높다"며 "세금감면 등 직접적인 추가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시장이 마비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