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 가뭄 게임사들…집토끼들에게 '이것' 판다

머니투데이 최우영 기자 2024.04.06 10:00
글자크기

[게임인마켓]
기존 게임 유저들 지갑 열 수 있는 각종 BM 필수
과도한 BM 도입 시 오히려 매출 급격히 줄어드는 악효과
신작 나올 때까지 비용효율화 등으로 버티는 '보릿고개'

편집자주 남녀노소 즐기는 게임, 이를 지탱하는 국내외 시장환경과 뒷이야기들을 다룹니다.

프라시아 전기에서 진행한 클래스 체인지. /사진=넥슨프라시아 전기에서 진행한 클래스 체인지. /사진=넥슨


모든 게임사의 지상과제는 끊임 없는 신작 발굴이다. 단순히 매출처를 하나 더 늘리는 게 아니다. 기존 게임으로 확보하지 못하던 잠재 고객들의 지갑을 열고, 개발 과정을 통해 자사의 기술력을 고도화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다만 이 같은 신작 개발은 단기간에 이뤄지지 않는다. 적게는 수십명에서 많게는 수백명이 수년간 달라붙어야 하는 지난한 작업이다. 이 와중에도 돈은 벌어야 한다. 이미 출시한 기존 게임 고객들로부터 꾸준히 매출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동원된다. 올해처럼 많은 게임사들에게 신작 '보릿고개'가 예상되는 시기에는 똑같은 방법이 수차례 반복적으로 시도될 가능성이 높다.



MMORPG의 '신분세탁'
MMORPG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반복적 BM(비즈니스모델)은 '신규 클래스(직업)' 출시다. 원거리, 근거리, 마법 클래스 간의 밸런스를 조정해 끊임 없이 새로운 직업군을 만들어 기존 유저들이 자신의 캐릭터를 신규 클래스로 전환하도록 유도한다. 당연히 '유료'다.

비단 신규 클래스로만 전환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기존 클래스의 한계를 느끼거나, 새로운 클래스 경험을 하고 싶어하는 유저들을 위해 자유로운 클래스 체인지 상품을 제공한다.



'서버 이전'도 단골처럼 등장하는 BM이다. 특히 유저간 경쟁이 심한 게임의 경우 한 서버 내에서 패배한 세력이 다른 서버로 도망치는 경우가 빈번하다. 때로는 유명 스트리머들이 이끄는 세력들이 대결을 하기 위해 '침공'하는 경우도 일어난다. 캐릭터 클래스를 전환하거나 서버를 이전하면서 닉네임 자체를 바꿀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대한 비용을 별도로 받는 게임도 있다.

영원한 아이템, 패션
퍼즐게임에 들어온 '귀멸의 칼날' 캐릭터들. /사진=그라비티 네오싸이언퍼즐게임에 들어온 '귀멸의 칼날' 캐릭터들. /사진=그라비티 네오싸이언
불경기에도 옷은 사 입는다. 게임에서도 새로운 콘텐츠가 없을 때 옷이라도 바꿔 입는 경우가 많다. 능력치가 붙는 변신 BM도 있지만, 말 그대로 아바타 옷입히기 수준의 스킨을 판매하는 경우도 많다.

이는 MMORPG에만 국한되진 않는다. FPS(1인칭슈팅)게임이나 퍼즐게임에서도 다양한 외부 IP(지식재산권)와 콜라보해 캐릭터를 내놓는 사례가 늘고 있다. 유저들의 주의를 환기하고 접속률을 유지하기 위해 무료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벤트 기간에만 판매하는 콜라보 아이템을 유료로 내놓아 매출을 올리는 경우가 더 많다.


신규 맵 등 '업데이트'
에버소울에 새로 나타난 정령 '조앤'. /사진=카카오게임즈에버소울에 새로 나타난 정령 '조앤'. /사진=카카오게임즈
기존 유저들이 꾸준히 접속해 게임을 하며 돈을 쓰도록 하려면 콘텐츠 업데이트 역시 필수다. 게임마다 다양한 필드를 추가해 유저에게 새로운 경험을 안겨주는 게 중요한 이유다.

콘솔 패키지 게임의 경우 이를 DLC(다운로드콘텐츠) 형태로 만들어 유료로 판매한다. 기존 고객 대부분이 DLC를 구매하면, 매출면에서는 신작 1개를 새로 낸 정도의 효과를 얻는다. 다만 풍부한 업데이트 콘텐츠를 내놓기 위해 들어가는 개발진의 노력 또한 신작 1개를 만드는 정도에 달한다.

수집형 RPG 등의 경우에는 새로운 캐릭터를 내놓는 자체가 중요한 업데이트다. 이를 수집하기 위한 유저들의 확률형 아이템 구입이 자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다만 충분한 스토리라인 추가 없이 매출을 위한 캐릭터만 인위적으로 양산하는 경우 오히려 흥행에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래봤자 '집토끼'…양적 성장 이루려면 결국 신작이 필요
/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삽화=임종철 디자인기자
기존 게임 고객을 대상으로 한 매출은 특별한 계기가 없는 한 꾸준히 하향 곡선을 그린다. 게임 출시 초기 '개점 효과'가 지난 뒤 급격히 가라앉아 평탄화된 매출 그래프를 두고 '하향 평준화'라고 한다. 대부분의 게임 매출이 이 같은 모습을 보인다.

그래서 신규 유저를 끌어오고 매출처의 외연을 넓히려면 다양한 신작 라인업의 출시가 필수적이다. 기존 게임에 붙이는 다양한 BM은 신작 출시 전까지 게임사의 매출을 유지하고, 기존 고객들의 이탈을 최대한 늦추려는 몸짓에 불과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똑같은 IP를 활용한 후속작을 낸다 하더라도, 기존작과는 다른 고객들이 유입되는 신작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으며 이 효과를 최대한 길게 끌고나가는 게 게임의 흥행을 좌우한다"면서 "결국 쉬지 않고 신작 출시를 이어가는 이유"라고 전했다.
신작 가뭄 게임사들…집토끼들에게 '이것' 판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