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한·미 금리역전에 조선 '호재' vs. 에너지·철강 '긴장'

머니투데이 안정준 기자, 이정혁 기자 2018.03.22 18:55
글자크기

[한미 금리역전의 파장]철강은 신흥시장 경기위축 우려…정유업계 "결국 문제는 유가"

편집자주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10년 7개월 만에 역전됐다. 수익률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옮겨 가는 게 돈의 속성이므로, ‘자본유출’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질문은 자연스럽다. 한국은행이 곧장 기준금리를 따라 올리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금리에 따른 돈의 이동은 환율 뿐 아니라 주식, 부동산 등 경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한미간 금리역전에 따른 경제적 파장을 짚어 본다.

현대중공업이 노르웨이 크누센사에 인도한 고성능 LNG운반선 모습/사진제공=현대중공업현대중공업이 노르웨이 크누센사에 인도한 고성능 LNG운반선 모습/사진제공=현대중공업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약 10년 7개월만에 역전되며 국내 산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환율 변동성이 확대돼 사업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어서다. 업종별 온도차도 감지된다. 에너지, 철강업계에서는 긴장감이 감도는 반면, 조선업계에서는 수익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21일(현지시간)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상한데 대해 조선업계에서는 이 같은 금리역전이 위기 극복의 발판이 될 수도 있다는 반응이다. 금리 역전으로 원화 대비 달러가치가 올라갈 수 있어서다.



대우조선해양 (31,250원 ▼800 -2.50%) 관계자는 22일 “선박 대금은 모두 달러로 결제돼서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매출은 물론 수익성도 좋아진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 (131,900원 ▼2,600 -1.93%)삼성중공업 (9,870원 ▼50 -0.50%) 등 국내 대부분 조선사들도 선박 결제대금이 달러다.

미국 금리 인상은 현지 경기가 좋다는 뜻이어서 선주들의 발주 확대의 신호라는 분석도 나온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조선업계 주요 선주들은 미국과 유럽에 집중돼 있다”며 “미국과 유럽 경기를 타고 수주가 늘어날 여지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금리역전이 실제로 업계에 긍정적 효과로 반영되기 위해서는 금리인상의 속도가 관건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금리가 실물경기 회복보다 빠르게 오르면 선주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장기적으로 수주도 줄어들 여지가 높다. 미국 금리인상에 맞춰 국내 금리도 빠른 속도로 오르면 업계 차입에 대한 이자 부담도 높아질 수 있다.

포스코, 현대제철 (32,350원 ▲600 +1.89%) 등 철강업계는 금리역전으로 인한 신흥시장 경기 위축을 우려한다.

신흥국이 자본이탈을 막기 위해 금리인상 도미노에 나서면 현지 경기 역시 위축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철강업계는 최근 몇년간 미국이 보호무역을 강화하면서 잇단 철강 관세 폭탄을 맞아 중국, 동남아시아 등 신흥국 판매 의존도를 높인 상태다.


SK이노베이션 (108,100원 ▲400 +0.37%). GS칼텍스 등 정유업계에서는 일단 금리 역전에 따른 환율 변동성 자체에는 큰 영향이 없다는 분위기다.

A정유사 관계자는 “원자재인 원유를 수입하는 반면, 석유제품 절반 이상을 수출하는 구조여서 금리 역전으로 원화가치가 떨어지더라도 이에 따른 효과가 서로 상쇄된다”고 말했다.

문제는 환율 변동성에 유가 상승이 겹치는 상황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이다. 금리 인상은 경기회복에 대한 신호이고, 원유 소비 증가의 신호이기도 하다. 이럴 경우 원유 수요 증가에 따른 유가 상승으로 원유도입 비용 부담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통상 달러가 강세로 갈 경우 유가 상승은 제한적이지만 중동 감산과 예기치 못한 정정불안으로 유가가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난해 상반기 40~50달러선이었던 국제유가는 현재 60달러대로 올라선 상태다. B정유사 관계자는 “관건은 결국 유가 변동성”이라며 “유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자업계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자업계는 금리나 유가를 비즈니스 모델로 하지 않기 때문에 특별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며 “다만 중장기적으로 실물경기에서 돈의 흐름이 적을 경우 구매 감소로 이어질 우려는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