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대체투자 사후관리 전담반 만든다

머니투데이 박준식 기자, 심재현 기자 2014.12.18 09:39
글자크기

PEF 사고 잇따라…장기적 관리 절실
통합조직 신설·실별 위성조직 2안 검토

국민연금, 대체투자 사후관리 전담반 만든다


국민연금이 대체투자 분야 PEF(사모투자전문회사) 거래에서 연이어 실패하자 이를 사전에 막거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후관리 전담조직을 만든다. 이른바 투자 건별 부실화 방지대책으로 내년 중 상설 체계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최근 PEF와 벤처 등 대체투자와 관련해 내부 리스크관리센터와는 별도로 사후관리조직을 신설해 전담 인력을 확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현재 PEF 등 투자의 사후관리는 거래별 투자집행 인력이 겸임해 책임진다.



신설되는 조직의 구성은 2가지 방안으로 논의된다. 첫째 안은 일단 가칭 '투자자산관리실'이라는 대형 통합조직을 만드는 것이다. 이 투자자산관리실이 만들어지면 국내외 투자가 모두 개별적으로 관리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방안은 내부의 반발을 사고 있다. 올 들어 리스크관리실이 센터로 격상돼 투자 집행을 깐깐히 검열하는 체계가 갖춰졌다. 여기에 준법감시인과 1년에 수차례에 달하는 감사 등을 감안하면 새롭게 구성될 투자자산관리실은 이른바 조직 내 옥상옥이 돼 투자 실무를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때문에 내부에서는 실별로 위성조직을 만드는 대체안을 선호하는 분위기다. 신설 조직의 규모를 최소화해 대체투자실이나 해외대체실 등에 순차적으로 사후관리팀이라는 위성조직을 만드는 것이다.

국민연금이 여러 방안을 고민하면서까지 사후관리에 만전을 기하려는 이유는 최근 PEF 투자 분야에서 연이어 사고가 발생해서다. 국민연금은 기금 출자를 받은 PEF로 2007년 삼보컴퓨터에 투자했던 산은캐피탈이 손실을 내자 이들을 상대로 지난해 소송을 제기했다. 올 들어서는 이례적으로 PEF 자금출자를 유보하고 운용사들에 대한 관리수수료 지급 기준을 강화하는 특단의 조치도 내렸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민연금이 내놓은 대책은 PEF 투자가 건별로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이른 뒤에야 책임여부를 거론하는 사후약방문에 그쳤다. 국민연금의 대책이 나온 뒤에도 국내 토종 대표 PEF 운용사인 보고펀드가 LG실트론 투자에서 실패했고 업계의 '모범생'으로 불린 H&Q AP코리아는 투자 포트폴리오였던 에스콰이아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사태를 맞았다.


결국 국내 대체투자의 경우 20여명의 전담인력으로는 투자집행만 평가하기에도 부족하다는 게 국민연금이 내린 판단이다. 2003년 100조원이던 기금 규모는 10년 만인 지난해 400조원을 돌파했지만 대체투자 인력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국민연금은 외부 컨설팅을 통해 국내외 대체투자 조직이 현재의 2배 이상이 돼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런 배경에서 내년에 충원되는 운용역 65명 중 적잖은 인력과 이들을 리드할 대체 및 해외대체실의 차장 이상급 인력이 신생 사후관리팀으로 배치될 가능성이 높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PEF 운용사가 국민연금에서 자금을 유치하는 데만 집중하고 좋은 기업에 투자했다 해도 관련 기업의 경영 관리에 태만하면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수 있다"며 "대체투자는 5년 이상을 보고 진행하는 장기 투자인 만큼 앞으로 사후관리에 더 철저히 역량을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