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신용등급 조정, 시장혼란 초래?

더벨 김은정 기자 2010.06.22 10:31
글자크기

신평사 평정요인 '애매'…채권은행 신용위험 평가 맞물려 '촉각'

더벨|이 기사는 06월21일(15:07)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국내 건설사에 대한 신용평가사의 잇따른 등급조정이 시장혼란을 가중시킨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채권은행의 신용위험 평가를 앞두고 산발적으로 등급조정이 이뤄져 특정업체에 대한 투자자 우려를 확대시키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장 관계자들은 건설업 전반에 대한 등급점검으로 보기 힘든데다 조정 원인이 광범위해 신용위험 평가와 맞물려 오해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건설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대부분 건설사가 정상적인 경영활동과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신용등급 조정=구조조정 대상?



한국기업평가는 21일 벽산건설 (0원 %)의 기업어음(CP·A3-) 신용등급을 부정적 검토 대상에 올렸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우발채무의 상환부담이 과하다는 판단에서다. 앞서 한일건설(회사채 기준·BBB0)과 신동아건설의 신용등급(기업 기준·BBB-)도 부정적 검토 대상으로 지정했다.

한국신용평가 역시 지난 18일 벽산건설의 회사채 신용등급을 BBB-(부정적)에서 투기등급인 BB+(안정적)로 떨어뜨렸다. 주된 조정 원인은 재무부담 가중과 자금조달 여건 악화. 분양경기 침체로 주택사업 관련 리스크(위험요인)가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만기가 몰려있는 PF 대출과 차입규모 확대를 근거로 한일건설 (0원 %)(BBB0)의 회사채 신용등급을 하향 검토 대상에 올렸다.


시장 일각에서는 신용등급 조정과 건설업 구조조정이 상관관계가 있지 않겠느냐는 얘기까지 나왔다.

운전자본 부담에 따른 차입금 증가와 투자자금 회수지연이 업계 전반의 문제인데도 특정 업체만 등급조정의 대상이 됐다는 이유에서다.

백재욱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채권은행의 신용위험 평가가 어떤 방식으로든 등급조정이나 하향검토 대상 등재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며 "뒷북평가를 우려해 부랴부랴 조치를 취했다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신평사도 정기평가 '속앓이'

신평사도 말 못할 고충은 있다. 이달은 신용등급 정기평가 기간이다. 정기평가란 이미 공시된 신용등급을 주기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을 의미한다. BBB급 건설사 중 회사채 유효 신용등급이 있는 경우가 많지 않지만 CP는 상황이 다르다.

상당수 건설사가 CP 정기평가 대상에 속한다. CP 정기평가는 건설사의 평가의뢰가 없이도 기존 모든 등급에 대해 실시된다.

신평사 관계자는 "이달 말까지 신용등급 정기평가를 마쳐야 하는데 사실상 정상적인 진행이 어렵다"며 "채권은행의 신용위험 평가발표가 끝나야 적절한 조치가 이뤄질 예정이며 채권은행의 신용위험평가 관련 신평사의 역할은 별로 없다"고 언급했다.

신평사의 신용등급과 채권은행의 신용위험 평가가 엄연히 분리되지만 채권은행의 발표가 임박한 상황이라 신평사 입장에서는 등급에 손대기가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안정적이라고 평가한 건설사가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될 경우 부적절한 평가와 도적적 해이(모럴해저드) 논란에서 자유롭기 힘든 까닭이다.

강성부 동양종합금융증권 연구원은 "2007년부터 건설업 신용등급이 과하다는 인식이 계속됐다"며 "또 한번 전반적인 등급조정이 필요한 때지만 업계 위기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어느 한 신평사가 총대를 메고 조정에 나서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편 채권은행은 시공능력 상위 300대 건설사의 신용위험을 평가해 워크아웃 등 구조조정이 필요한 건설사를 이르면 이번 주 발표할 계획이다.

신용위험평가 결과는 A(정상), B(일시적 유동성 부족), C(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 D(법정관리) 등 4개 등급으로 나뉜다.

쉶궗 차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