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지주의 자본확충 해법은?

더벨 민경문 기자 2009.06.08 10:00
글자크기

예보가 반대 "공자금 투입 회사 한계 어떻게 넘어설지…"

이 기사는 06월05일(09:46)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 (11,900원 0.0%)지주가 지난 3일 조회공시 답변을 통해 유상증자 추진을 부인했다. 같은 날 유상증자를 ‘검토중’이라고 밝힌 KB금융지주와는 대비되는 모습이었다.



우리금융지주의 유상증자는 ‘안하는 것’이기 보다는 ‘못하는 것’에 가깝다. 자본확충의 필요성에도 불구, 보통주를 통한 유상증자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그 동안 우리금융지주가 자체적으로 유상증자를 단행한 적은 한번도 없었다.

우리금융지주의 최대주주는 약 73%지분을 보유한 예금보험공사(이하 예보). 예보는 2002년 공적자금 상환대책에 따라 법적으로 추가 납입을 못하게 돼 있다.



결국 이에 따른 실권 물량은 3자배정 혹은 일반공모를 통해 조달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대주주 참여 없이 거액의 물량을 시장에서 소화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 업계의 지배적인 시각이다.

설사 시장에서 흡수한다고 해도 주식수 증가에 따른 지분가치 희석은 불가피하다. 지분율은 둘째 치더라도 주가 하락이 부담스러운 상황. ‘공적자금 회수’라는 숙제를 안고 있는 예보 입장에서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아울러 예보 측은 우리금융지주가 자본확충을 해야 하는 이유부터 명확히 검토해야 한다며 유상증자 자체에 문제를 제기한다. 만약 유상증자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라면 지분 가치 희석은 문제될 게 없다는 것.


한 예보 관계자는 “KB금융지주의 경우 인수합병(M&A), 비은행부문 강화 등의 확실한 이유가 있지만 우리금융지주의 경우 아직까지 단순 자본확충이라는 목적 외에는 없는 상황”이라며 “기본자기자본비율(Tier 1)과 BIS비율(11.4%) 모두 권고치인 7%와 10%를 넘고 있다는 점도 고려가 됐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지주로선 답답할 뿐이다. 자기자본비율과 BIS비율이 권고치를 밑돈 이후에야 자본 확충에 나선다는 건 사후약방문과 다름없다는 것. 정부 지원 자금에 따른 재무부담 해소 및 자본 구조상 일정 부분 버퍼 확보를 위해서라도 자본 확충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입장이다.

물론 현실적으로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 확충이 어렵다는 점은 우리금융지주 스스로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터. 해외 주식예탁증권(DR) 및 후순위 채권 발행 등의 방법도 분명 고려대상이 됐을 것이다.

하지만 어느 것 하나 경영진이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는 점은 '공적자금 투입'이라는 꼬리표가 붙은 금융회사의 한계다. 쏠린 눈이 많은 만큼 눈치를 봐야 할 것도 많다.

조회공시 답변의 효력기간은 한 달. 이 기간 동안은 유상증자 결의가 불가능하다. 한 달 뒤에 우리금융지주가 과연 어떤 묘안을 낼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우리금융 차트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