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스타 '금리 이득보다 경영권'

머니투데이 권화순 기자 2009.03.23 07:47
글자크기

외환은행 조건 좋은 자본확충펀드 외면 왜

외환은행 (0원 %)이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을 두고 독특한(?) 셈법을 택했다. 손쉬운 자본확충펀드를 제쳐두고 굳이 '악조건' 속에서 시장 발행을 하기로 했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금리를 추가로 얹어줘야 하는 탓에 비용 부담도 만만찮다. 경영권 간섭을 우려한 대주주 론스타가 '금리적인 이득'보단 '경영권 지키기'를 우선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외환은행이 자본확충펀드 한도를 최종적으로 2500억원 받기로 했다. 당초엔 하이브리드 채권과 후순위채 한도를 각각 2500억원씩 총 5000억원 신청했었다. 이 가운데 하이브리드 채권 한도를 뒤늦게 반납한 것이다.

이미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을 추진하고 있는 터라 굳이 자본확충펀드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게 표면적인 이유다. 발행 규모는 2500억원이고, 조건은 30년만기에 연 7.3%다. 10년이 지나면 금리는 8.30%로 올라간다.



외환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기준 기본자기자본비율(Tier1)은 8.8%로 권고치를 미달한다. 론스타의 증자가 없다면 하이브리드 채권 발행을 통해 9% 이상으로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조건만 놓고 보면 시장 발행보단 자본확충펀드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발행금리를 60~90bp 낮출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탓이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기도 힘들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말 1000억원을 발행하면서 연 8.5%의 금리를 줘야 했다.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가 국내 은행의 하이브리드 채권등급과 재무등급을 하향조정해 여건도 썩 좋지 않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관 투자가들은 불확실성을 감안해 하이브리드 채권을 아예 쳐다보지도 않고 있다"면서 "결국 창구 고객을 통한 발행 방식을 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악조건' 속에서도 외환은행이 굳이 험난한 길을 택한 것은 론스타의 의중이 반영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자본확충펀드를 이용하면 경영권 간섭을 피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시중은행과 달리 해외채권에 대한 정부의 지급보증을 거부한 선례도 있다. 이 역시 정부의 간섭을 우려해서였다. 금융권 관계자는 "사모펀드가 또다시 펀드를 이용한다는 게 론스타 입장에서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