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SKT 1년만에 '뒤바뀐 운명'

신혜선 기자 2009.01.22 12:16
글자크기

'KT·KTF합병' 놓고 날선 공방, 1년전 'SKT+하나로' 때에는…

KT와 SK텔레콤의 운명이 꼭 1년만에 뒤바뀌었다.

두 회사는 지금 'KT·KTF합병'을 놓고 날선 공방을 벌이고 있는 중이다. KT는 5월중순까지 KTF를 합병하겠다고 선언했고, SK텔레콤은 결사 항전으로 합병을 막겠다고 벼르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취임한 두 회사의 수장들이 전면에 나서서 '공격'과 '수비'를 진두지휘하고 있을 정도다.

지금은 KT가 '공격수'라면 SK텔레콤은 '수비수'인 셈이다. 그러나 불과 1년전 두 회사의 입장은 지금과 전혀 달랐다. 그때는 SK텔레콤이 '공격수'였고, KT는 '수비수'였다. 당시 SK텔레콤은 유선사업자인 하나로텔레콤(현 SK브로드밴드) 인수하려고 했고, KT와 KTF는 이를 반대하고 나섰던 것이다.



↑ 이석채 KT사장이 20일 오후 서울 세종로 KT광화문지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선통신회사 KT와 이동통신 자회사 KTF 간의 합병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이석채 KT사장이 20일 오후 서울 세종로 KT광화문지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선통신회사 KT와 이동통신 자회사 KTF 간의 합병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과정만 보면 1년전 SK텔레콤은 '당할만큼' 당했다. LG텔레콤은 '800Mhz 로밍'을 요구했다. 당시 KTF합병을 염두에 두고 있던 KT는 공식적인 입장발표는 유보했지만, KTF는 '800Mhz 주파수 반납'을 요구했다.

SK텔레콤의 하나로텔레콤 인수에서 가장 쟁점이 됐던 것은 '무선시장의 지배력이 유선시장으로 전이된다'는 점이었다. 이렇게 되면, 이용자 이익이 저해되고 공익성도 훼손될 것이라고 반대측은 주장했다.



'KT·KTF합병'을 반대하는 논리도 똑같다. 막강한 유선망 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KT가 KTF와 합병하면 유선시장뿐 아니라 무선시장까지 지배력이 전이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입장만 바뀌었을 뿐, 반대의 논리는 변한 게 없다. 다만, 1년전 SK텔레콤은 하나로텔레콤을 '인수'하려 했지만, 지금 KT는 자회사인 KTF를 '합병'하려 한다는 차이만 있을 뿐이다.

당시는 SK텔레콤의 하나로 인수를 판단해야 할 공정거래위원회와 정보통신부의 입장도 엇갈렸다. 그때 공정위는 "유무선 통신시장에 경쟁제한적인 폐해가 우려된다"면서, 800Mhz 로밍 의무화, 유통망 공동활용 금지, 주파수 재배치(정통부) 요구 등을 조건으로 승인했다.

그러나 당시 정통부는 공정위의 의견을 거의 수용하지 않았다. 로밍이나 주파수 회수 재배치건은 중장기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가능한 일이므로 수용할 수도 없었다. 어쨌거나 정통부는 공정위가 나서서 로밍과 주파수 재배치를 거론했다는 것 자체에 대해 매우 불쾌하게 생각했다.


관련업계는 'KT·KTF합병'건에 대해서도 두 규제기관의 입장이 엇갈리지 않을까하면서 지켜보고 있는 중이다. '인수'건에 대해서도 강력한 조건을 걸었던 공정위가 '합병'에 대해 어떻게 판단할지가 궁금증을 모으고 있다.

하나로는 고작 300만명의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밖에 내세울 것이 없었지만, KTF는 1400만명의 이동전화 가입자를 갖고 있는 시장2위기 때문이다. 게다가 KTF를 합병하려는 KT는 시내전화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면서 초고속인터넷 시장의 절반 가까이 점유하고 있어, 결코 가볍게 볼 사안이 아닌 셈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