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고금리, 믿어 말어?

권현진 MTN기자 2009.01.12 19:51
글자크기
< 앵커멘트 >
저축은행들은 지난달까지 예금을 유치하기 위해 고금리 경쟁을 벌였습니다. 우량하지만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에 대한 대출자금이 마련됐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이 은행들의 건전성이 어느정도인지 알 길이 없어 고객들은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권현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고객들을 상담하는 저축은행 직원들의 손놀림이 바쁩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전에 예금하려는 고객들이 하루에 250명이나 몰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와중에 정작 예금의 안전성에 대한 고민은 엿볼 수가 없습니다.

[인터뷰] 박은희 / 안산시 상록수
(BIS비율은 확인하셨습니까?) 아뇨. 정확히 몰라요.

[인터뷰] 이원표 / 서울시 영등포구
"1년짜리를 3년으로 바꾸려고 들렀어요."
(가입하는 저축은행의 BIS비율은 아십니까?) "제가 여기 오래 거래를 했기 때문에 그것까지 확인을 못했어요."


문제는 수도권 은행이나 시중 인지도가 높은 은행들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을 늘린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는 겁니다.

부실 PF대출규모가 큰 것으로 알려진 대전저축은행과 부산저축은행의 1년 정기예금 금리는 평균을 훌쩍 뛰어넘습니다.



높은 금리만 믿고 덜컥 가입했다가, 은행이 유동성 위기에 몰리게 되면, 졸지에 금리와 원금을 합해 5천만원까지가 한도인 예금자보호법의 신세를 져야 합니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유동성형편을 확인하고자 싶어도, 지난해 6월까지만 가능하다는 것이 더 큰 문제입니다.

안전성 지표가 되는 BIS자기자본비율과 고정여신비율은 상반기와 하반기에 걸쳐 일년에 두 번만 공시되는 까닭입니다.



지난해 12월을 기준으로 하는 하반기보고서가 곧 발표된다고는 하지만, 일러야 2월 중순까지 기다려야 확인할 길이 열립니다.

[녹취] 금융감독원 저축은행서비스국 관계자
"분기공시가 된다거나 하려면 내부 협의를 거쳐서 법 개정이 이뤄져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금융권을 둘러싼 제반 환경은 급변하고 있음에도, 감독당국은 허술한 공시체계를 내세운 채 팔짱만 끼고 있는 것입니다.



지난해 12월 말, 전북저축은행은 불과 반년새 BIS비율이 추락하며 영업정지를 당했습니다.

6개월에 한번만 나오는 허술한 공시가, 고객의 종자돈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습니다.

MTN 권현진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