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가 절반이 넘어?"…중국시장 계속 커지는 3가지 이유는

머니투데이 김재현 전문위원 2024.08.12 15:38
글자크기
최근 발표된 중국 승용차 시장의 7월 전기차 점유율(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포함)은 51.1%로 월간 기준 50%를 처음 돌파했다. 신차 판매 2대 중 1대가 전기차라는 의미다. 노르웨이 등 일부 북유럽 국가의 전기차 점유율이 70%를 돌파했지만, 미국·유럽연합(EU) 등 주요 자동차 시장에서 50%를 돌파한 건 중국이 첫 번째다. 약 9000만대에 달하는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중국 비중은 30%가 넘는다.

BYD의 '친' 시리즈 전기차를 살펴보는 중국 소비자/사진=이스트아시아포럼닷컴BYD의 '친' 시리즈 전기차를 살펴보는 중국 소비자/사진=이스트아시아포럼닷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전기차가 캐즘(Chasm)을 넘어서며 주류 시장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것이다. 캐즘은 새로운 제품이 개발돼 시장에 공개되고 초기 시장(Early market)을 형성한 후 주류 시장(Mainstream)으로 자리잡기 전에 수요가 줄거나 정체되는 현상이다.



1978년부터 개혁개방을 추진하며 뒤늦게 산업화를 시작한 중국은 지금까지 선진국의 뒤꽁무니만 쫓아왔다. 자동차 산업도 1984년에야 독일 폭스바겐과의 합작사인 상하이 폭스바겐을 출범시켰으며 그동안 독일·일본 등 자동차 선진국을 뒤쫓느라 급급했다. 그런데, 지금 중국이 가장 먼저 캐즘을 넘어서며 전기차에서 앞서가기 시작한 것이다.

전기차 구매 의향이 내연차에 맞먹어
중국 소비자들의 전기차 구매 의향은 내연차에 맞먹는 수준이다. 5월31일 중국 자동차공업협회(CAAM)가 발표한 '2024 전기차 소비 인사이트 보고서'는 1만3800여명에 달하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전기차 관련 설문을 진행했다.



전기차 구매를 고려 중인 소비자가 내연차와 막상막하/그래픽=윤선정전기차 구매를 고려 중인 소비자가 내연차와 막상막하/그래픽=윤선정
보고서는 올해 중국 전기차 점유율이 연간 기준 40%에 육박할 것이며, 소비자의 전기차 구매 의향 정도가 내연차에 맞먹는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 소비자들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와 10만~20만위안대(1900만~3800만원 정도) 차량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신차 구매를 생각 중인 소비자 중 전기차만 고려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26.4%로 내연차만 고려하는 비중(28.2%)에 육박했다. 나머지 45.4%는 전기차·내연차를 모두 고려 중이라고 응답했다.

이처럼 높은 중국 소비자의 전기차 구매 의향은 부쩍 높아진 전기차 점유율로도 알 수 있다. 중국 승용차 시장의 전기차 점유율은 2021~2023년 연간 기준 각 14.8%→27.6%→35.7%로 빠르게 상승했다. 그리고 올해 들어 월간 기준으로는 사상 최초로 50%를 돌파했다(7월 51.1%). 중국 정부가 2025년 목표로 내세운 전기차 점유율 20%도 3년 빠른 2022년 달성됐으며 올해는 연간 기준 40%를 돌파할 전망이다.

중국 승용차 시장의 전기차 점유율 추이/그래픽=윤선정중국 승용차 시장의 전기차 점유율 추이/그래픽=윤선정
중국이 전기차 캐즘을 뛰어넘은 3가지 이유
한국, 미국 등 전 세계가 전기차 캐즘 현상을 겪고 있음에도 중국 전기차 판매가 증가세를 유지하는 이유는 대략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전기차 구매 시 10%의 취득세 면제 조치와 번호판 발급 용이 등 정책적 지원이다. 중국은 전기차 구매시 취득세 10%를 면제하는 정책을 2014년부터 시행 중이며 지난해 면제조치가 만료될 예정이었지만 다시 2027년까지 연장키로 결정했다. 예상되는 감면금액만 약 5200억위안(약 99조원)에 달한다. 또 베이징시는 대기오염 방지를 위해 자동차 번호판 발급을 제한 중이며 상하이시는 번호판 발급비용이 12만위안(약 2280만원)에 달하지만, 전기차는 번호판 발급이 훨씬 수월해 대도시 중심으로 전기차 보급률이 급등했다.

둘째, 중국 1위 전기차업체 BYD가 1500만원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를 내놓는 등 전기차 가격이 싸졌다. 올들어 BYD가 내놓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친플러스 DM-i는 7만9800위안(약 1510만원)에 불과한 가격으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으며 7월에도 2만9074대가 팔렸다. 순수전기차(BEV)인 친플러스 EV도 가격이 10만위안(약 1900만원) 초반에 불과하다. 원화로 2000만원만 가지고도 전기차를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가격 부담이 줄었다.



마지막으로 급속히 보급 중인 충전 인프라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발개위)에 따르면 지난 5월말 기준 중국 전기차 충전기 대수는 1000만대에 가까운 992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56% 급증했다. 이중 공공 충전기 대수가 305만대, 민간 충전기 대수가 687만대에 달한다. 작년 6월 중국 국무원이 '품질 충전 인프라 시스템의 추가 구축에 대한 지침'을 발표한 이후 중국 정부는 충전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하기 시작했다. 이제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뿐 아니라 지방 중소도시, 농촌지역에도 촘촘한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