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함께 가야 할 다문화 가족

머니투데이 조상훈 한국폴리텍대학 다솜고등학교 교장 2024.03.06 05:56
글자크기
조상훈 한국폴리텍대학 다솜고등학교 교장.조상훈 한국폴리텍대학 다솜고등학교 교장.


우리 사회에 결혼이민자가 늘어나기 시작한 시기는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90년 중반부터다. 특히 1992년 한·중수교 이후 중국동포와의 혼인이 많아졌고, IMF시절부터 국제결혼중개업자가 등장하면서 결혼이민자 수는 급격히 증가한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22년 외국인과 혼인건수는 1만 6700건으로 2021년 1만 3100건보다 3600건(27.5%)이나 증가했다.

초기 다문화 가정은 생각처럼 순탄치 않았다.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한국인과 혼인했으나 언어문제와 문화적 갈등, 사회적 편견, 경제적 어려움에 부딪혀 이혼하는 경우가 많았다. 나이차 많은 한국인 남편이 사망하는 경우, 홀로남은 외국인 아내는 한부모 가정이나 기초생활수급자로 어렵게 살아가기도 한다. 당연히 그 자녀들의 성장과 교육 기회는 일반 한국인 가정에 비해 열악할 수밖에 없다.



요즘 우리 사회의 미래 현안 중 가장 큰 문제로 꼽는 것은 '인구감소와 그에 따른 노동력 부족'이다. 매년 출생률은 떨어지고 있고 2022년 합계출생률은 0.78명이다. 유엔 보고서는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인구대국에 오를것으로 발표했고 모건스탠리는 인도가 2027년까지 세계 3위 경제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인구수는 한 나라의 존립과 경쟁력에 매우 중요한 요소다. 정부도 인구수를 늘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시도하지만 현재까지 만족할만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 대한민국은 다문화 가족정책을 통해 그들의 노동시장 흡수 방향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할 시점이 됐다.

정부는 2010년 제1차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을 시작으로 현재 제4차 계획을 토대로 한 사회통합 차원의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정착기에 접어든 다문화 가족들에게 가장 우선돼야 할 정책은 직업교육을 통한 사회 적응도와 경제적 자립능력 향상이다. 국제결혼으로 다문화 가정이 많아진 1990년대 후반부터 태어난 자녀들이 2030세대 청년이 됐다. 이들에게 시기적절한 직업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일자리를 통한 경제적, 사회적 자립을 이루어낸다면 그들은 어엿한 사회 구성원으로 정착해 노동력 부족 문제도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다문화 가족 구성원들의 원활한 사회 편입을 위해 한국폴리텍대학에서는 2012년부터 다문화청소년 기술 대안학교인 다솜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더 나아가 올해 4월부터는 다문화 청년 특화과정을 신설해 10개 캠퍼스 200명 대상 직업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다문화 가족들은 함께 가야 할 중요한 인적자원으로 편견과 차별을 넘어 당당한 구성원으로 자리잡게 하는 것이 사회의 건강성과 성장가능성을 키우는 방법이다. 국민의 포용 수준도 그에 따라 변화돼야 할 것이다. 다문화 가족 구성원들을 성장의 한 축으로 생각하고 배우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면 사회 구성원으로 잘 안착할 수 있도록 직업교육의 문을 활짝열어 포용해야 할 것이다. 그들은 인구절벽과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의 성장동력을 이끌어갈 귀중한 자원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