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中 부동산 부채리스크…韓 경제 '상저하고' 비상등

머니투데이 박광범 기자, 세종=유선일 기자, 이용안 기자 2023.08.14 14:31
글자크기
중국 국기/사진=게티이미지중국 국기/사진=게티이미지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인 비구이위안(碧桂園·컨트리가든)이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를 맞으면서 위기감이 고조된다. 중국 경제가 휘청이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경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당장 이번 사태로 국내 금융·부동산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부동산에 대한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크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중국 위안화 약세로 단기적으로 원/달러 환율 상방 압력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한다.



일각에선 중국 경제가 흔들리면서 한국 경제의 '상저하고(上低下高)' 회복에도 비상등이 켜졌단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4일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비구이위안은 지난 7일 만기 도래한 액면가 10억달러 채권 2종에 대한 이자 2250만달러(약 296억원)를 못갚았다. 비구이위안이 향후 30일간 유예기간 중 채무의무를 다하지 못한 디폴트에 빠지게 된다.



비구이위안이 디폴트 위기에 직면한 건 중국 경기와 부동산 시장이 동시에 얼어붙은 영향이다.

한국은행 베이징사무소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최근 중국 부동산 시장은 2021년 상반기 이후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며 "코로나19(COVID-19) 이후 중국 경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신속한 경기회복을 기대했지만 예상에 미치지 못하면서 부동산시장 등에서 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중국 금융당국과 지방정부는 2021년 이후 부동산 규제를 강화했고 그 결과 부동산 시장 침체가 본격화했다. 특히 올해 들어 중국 경기가 디플레이션(물가 하락)과 침체 국면에 진입하면서 부동산 시장은 더 가라 앉았다. 이에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유동성 리스크가 확대하고 있다.


황원정 국제금융센터 책임연구원은 "이번 사태로 중국 당국의 부양책 및 지원 기대가 높아지고 실제 일부 대책이 나올 수 있다"면서도 "소비자들의 투자심리 약화, 수급 불안 등으로 중국 부동산 시장의 뚜렷한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중국인민은행/사진=뉴시스중국인민은행/사진=뉴시스
정부도 중국 부동산 부채리스크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당장은 국내 금융·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시각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부동산에 대한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크지 않아 당장 국내 금융 및 부동산 시장에 영향에 있을 것이라 보는 건 과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도 "해외투자를 많이 하는 보험업권의 채권, 부동산을 포함한 중국 익스포저는 약 1800억원에 불과하다"며 "중국 부동산 위기가 당장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원/달러 환율 상승 등 단기적으로 외환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단 점은 경계 대상이다. 외환당국 관계자는 "당장 당국이 대응할 상황은 아니지만 중국 금융시장 자체가 흔들리면 외환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동향을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이미 경고등이 들어온 중국 경제에 또 다른 악재가 등장하자 우려의 목소리가 커진다. 중국 부동산시장이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25%를 차지하는 만큼 부동산 시장이 흔들리면 중국 경제 전체가 휘청거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한국 경제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정부는 올해 우리나라 경기가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면서 하반기 경기 회복의 주된 근거로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를 꼽았다.

중국 경제가 오히려 우리 경제 리스크 요인으로 부각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중국 부동산 부채리스크가 당장 우리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주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중국 부동산 부채리스크에 따른 경기 둔화로 올해만 지나면 괜찮아질 것으로 보였던 한국 경제 부진이 예상보다 더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중국 경기 리스크가 고스란히 국내 수출로 전염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중국 경기 불안 확산, 특히 부채리스크를 중국 정부가 얼마나 통제하면서 디플레이션 리스크를 해소할지가 국내 경기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우려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비구이위안이 원금이 아닌 이자를 못 갚은 상황이고 상환기간도 남아 있는 상태라 중국 정부가 물밑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코로나19 사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 문제가 크게 번질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