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동차 3강 간다"...2030년 전기차 점유율 12% 목표

머니투데이 세종=김훈남 기자 2022.09.28 14:00
글자크기
일 전기차 전용 충전기가 설치된 경기도 하남의 한 대형 쇼핑몰 주차장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모습. /사진=뉴스1일 전기차 전용 충전기가 설치된 경기도 하남의 한 대형 쇼핑몰 주차장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모습. /사진=뉴스1


정부가 자동차 산업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2030년 전기차 부문에서 330만대 생산과 세계 시장 점유율 12% 달성이란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향후 5년간 자동차 업계가 계획 중인 '95조원+α' 규모 투자에 대한 걸림돌을 해소하고 미래차 전문인력 3만명 양성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구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EC룸에서 이창양 산업부 장관 주재로 '자동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열고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창양 장관은 지난달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업종별 산업 대전환 전략맵'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은 이 장관이 공언한 '업종별 산업 대전환 전략맵'의 첫 순서다.



산업부는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통해 미래차로의 신속하고 유연한 전환과 모빌리티 신산업으로의 자동차 산업 경계 확장을 통해 글로벌 자동차 3강으로 자리잡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현재 현대·기아차는 일본 토요타와 독일 폭스바겐에 이어 세계 3위 완성차 기업으로 자리잡았다. 다만 전기차 판매 분야에선 시장 점유율 5.1%로 세계 6위에 머물러 있는데, 전기차 분야에서도 글로벌 3강 안에 진입하겠다는 게 이번 구상의 요지다.

산업부는 이를 위해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top-tier) 도약 △생태계 전반의 유연한 전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 등 4대 전략을 제시했다. 4대 전략을 바탕으로 2030년까지 △전기차 330만대 생산 및 세계 시장 점유율 12% 달성 △ 향후 5년간 자동차 업계 투자 95조원+α △2030년 소프트웨어 융합인력 1만명 포함 미래차 전문인력 3만명 양성 등 목표를 세웠다.



현대·기아차가 2030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 목표를 324만대로 잡은 점을 고려하면 정부의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은 추가 생산·판매 목표를 제시하기보단 완성차 업계의 지원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풀이된다. 남경모 산업부 자동차과장은 "민간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이 맞다"며 "규제개선 차원에서 도움을 준다는 게 이번 전략의 기본 콘셉트"라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 12% 달성을 위해 소프트웨어와 반도체 분야 역량을 강화, '소프트웨어가 중심인 차'로의 전환을 가속할 방침이다.

2026년까지 차량 운행을 위한 운영체제(OS), 무선업데이트(OTA) 등 차량용 핵심 소프트웨어를 국산화하고 올해 예산 224억원을 투입해 추진 중인 미래차 인력양성 사업을 확대해 소프트웨어 융합인력 1만명을 육성하기로 했다. 2030년까지 차량용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300개를 육성하고 차량용 반도체 16대 품목 집중개발을 통해 차량용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2021년 3.3%에서 2030년 6.6%로 2배 끌어올리기로 했다.


'갖고 싶은 전기차'를 만들기 위한 기술개발에도 집중 투자한다. 2030년까지 전기차 배터리 충전하는 데 드는 시간을 현재 18분(80% 기준)에서 5분으로 단축하고 1회 충전거리도 500㎞(킬로미터)에서 2025년 600㎞로 늘릴 방침이다. 수소연료전지차의 경우 현재 주행거리 기준 30만㎞인 내구성을 2030년 80만㎞로, 연비 13㎞/㎏(킬로그램 당 킬로미터)를 17㎞/㎏로 개선하기로 했다.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산업 생태계 전환 시 드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내연기관의 캐시카우 역할도 고려하는 전환 유도 정책도 마련한다. 산업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운영 중인 사업재편·사업전환 프로그램을 연계해 부품 기업의 기술개발, 생산, 사업화에 이르기까지 전주기 지원할 방침이다.

공급망 분야에선 최근 업계의 최우선 현안인 미국 IRA 피해 최소화를 모색하는 한편 주요 시장별 맞춤형 대응 전략을 세우기로 했다. 미국 시장에 대해선 IRA 현안 대응과 전기차 배터리 현지 생산 확대에, 유럽 시장에선 환경 규제 대응에 집중하는 식이다. 미래차 시장의 핵심 기술이 자율주행 분야에선 20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4)을 목표로 현재 선진국 대비 84% 수준인 자율주행 핵심부품 경쟁력을 2027년 100%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번 자동차 글로벌 3강 전략에 이어 △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 전략 △전기차 보조금 개편 방안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 전략 △자동차 소프트웨어 강화 전략 △친환경 모빌리티 규제혁신 로드맵 2.0 등 세부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창양 장관은 "미국 IRA 법안 등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현재 자동차 산업에 닥쳐온 파고를 넘어 우리 자동차 산업이 한 단계 더 높은 곳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민·관이 머리를 맞대야할 시점"이라며 "오늘 발표한 전략은 민·관이 나아가야할 자동차 산업 전략에 대한 큰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며 앞으로도 업계와 지속 소통하면서 세부 분야별 정책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자동차 3강 간다"...2030년 전기차 점유율 12% 목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