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 여기서 "조피볼락이 뭔가요? 나는 먹어본 적도 없는데 무슨 소리?"라고 할만한 분들이 많을 것이다. 당연하다. 횟집이나 수산시장에서 조피볼락이라고 파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신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바로 '우럭'이다.

조피볼락이 우럭으로 불리게 된 건 조상님 탓이 크다. 조선시대 실학자 서유구의 '전어지'에서는 조피볼락을 '울억어'(鬱抑漁)로 소개한다. 입을 꾹 다물고 있는 모습이 고집스러워보여 막힐 울(鬱), 누를 억(抑)자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속담에 '고집쟁이 우럭 입 다무듯'이라는 말도 조피볼락 생김새를 인용한 것이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서는 '검어'나 '검처귀'로 소개한다.

볼락류의 특징은 비교적 찬 물을 좋아하며 바위나 암초가 무성한 곳에서 무리를 지어 산다는 것. 살이 단단하고 맛이 좋아 낚시 대상어나 요리 재료로 인기가 많다. 볼락류는 다른 물고기와 달리 알을 직접 산란하지 않고 교미를 통해 암컷 뱃속에서 수정한 뒤어린 물고기를 낳는 난태생이다. 초기 알 상태의 사망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생존전략이다.
볼락류 최강자 조피볼락

조피볼락은 회로 먹는 것 외에 구이나 탕으로도 많이 먹는다. 건조 또는 반건조 상태로 보관할 경우 살이 단단해져 굽거나 찔 때 살이 부스러지는 걸 막을 수 있다. 또 수분이 빠져나가 맛이 진해지고 쫄깃한 식감을 느낄 수 있다. 충남 서산·태안 지역에서는 말린 조피볼락을 이용한 '우럭젓국'이 유명하다. 제삿상에 말린 조피볼락을 올린 뒤 남은 뼈와 생선전 등을 새우젓, 두부전과 함께 쌀뜨물에 넣고 끓여먹던 음식이다.
낚싯배에서 잡힌 조피볼락은 배를 까뒤집고 떠다니는 경우가 많다. 보통 최대 수심 100m에서 서식하던 조피볼락이 잡힌 뒤 급격하게 수면 가까이 오면 수압 차이 때문에 부레가 부풀기 때문이다. 이를 굳이 바로잡아주려고 하다 등 가시에 손이 찔리는 불상사는 피해야 한다. 약한 수준이지만 조피볼락 가시엔 독이 있어 심하게 찔릴 경우 1~2일 정도는 손가락이 살짝 마비될 수도 있다.
양식과 자연산 조피볼락 구분하는 쉬운 방법

양식 우럭을 더 크게 키우기는 힘들다. 조피볼락은 태어난 뒤 초기 1년간 매우 빠르게 크다가 이후 성장률이 줄어든다. 일정 크기 이상으로 성장하면 같은 양의 사료를 먹더라도 성장이 더뎌지는 것. 또 개체 크기가 커지면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해서 양식 비용이 증가하고, 과밀화에 따라 전염병에 취약해질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치어에서 30개월 정도 더 기른 조피볼락을 주로 시장에 내놓는데, 그 크기가 30㎝ 안팎이다. 40㎝를 넘어가는 조피볼락은 대부분 자연산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작지만 강한 맛, 볼락과 불볼락

불볼락은 '열기'나 '열갱이'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린다. 상반부는 붉은색을 띠고 5~6개의 가장자리가 불분명한 적갈색 가로무늬가 있다. 회로도 먹지만 소금구이나 조림으로 많이 조리된다. 누루시볼락은 조피볼락보다도 더 기름진 맛을 자랑하기에 구이용으로 즐기는 이들이 많다.
볼락 박사의 추천 "내장 빼지 말고 구워드세요"

큰 볼락의 머리와 뼈는 천연조미료 역할을 해 국물을 끓이면 진하고 뽀얀 색이 나온다. 남해안 지역에서는 볼락구이를 생선구이 중 최고로 여긴다. 볼락 전문가인 유효재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는 "볼락을 구울 때 내장을 제거하지 않고 통째로 굽는 것을 추천한다"며 "제철 볼락 내장에 가득 찬 기름이 배어 나와 볼락구이를 더 기름지고 맛이 좋게 만든다"고 말했다.
사시사철 안정적인 조피볼락 어획량…치어 방류 덕분

다만 자연산 볼락류의 경우 치어 상태에서 낚시꾼들에게 잡히는 경우가 잦다. 성숙하기 전에는 어린 개체가 연안 가까이 모여 성장하다보니 방파제나 갯바위 낚시에서 주로 잡힌다. 이런 경우 바늘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재빨리 바다로 돌려보내야 한다. 23㎝가 안되는 조피볼락과 15㎝가 안되는 볼락은 잡으면 불법이다.
유효재 연구사는 "간혹 다 자라지 않아 뼈가 연한 작은 볼락을 뼈째썰기(세꼬시)로 먹는 경우가 있다"며 "이는 법 위반일뿐만 아니라 어린 물고기 보호 측면에서도 좋지 않은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다 자란 조피볼락과 볼락, 맛있게 즐기는 방법

대한민국 수산대전에는 전통시장부터 오프라인 마트, 온라인 쇼핑몰, 생활협동조합, 수산유통 스타트업 등 수산물 주요 판매처가 대부분 참여한다.
대형마트 8개사(이마트, 홈플러스, 농협하나로유통, 롯데마트, GS리테일, 메가마트, 서원유통, 수협마트), 온라인 쇼핑몰 15개사(11번가, 컬리, 쿠팡, 한국우편사업진흥원, 이베이코리아, 수협쇼핑, 위메프, 오아시스, SSG.com, CJ ENM, 더파이러츠, GS홈쇼핑, 롯데온, 인터파크, 꽃피는아침마을), 생협 4개사(한살림, 아이쿱, 두레, 행복중심 생협), 수산 창업기업 4개사(얌테이블, 삼삼해물, 풍어영어조합법인, 바다드림)에서 사시사철 할인 쿠폰을 뿌린다.
행사기간에 맞춰 생선을 주문하면 정부가 지원하는 20% 할인에 참여업체 자체 할인을 더해 반값에도 구입할 수 있다. 제로페이앱을 쓰면 전통시장에서 쓸 수 있는 모바일 수산물 상품권을 3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조피볼락 회에 불볼락 구이, 볼락 매운탕까지 맛있는 녀석들이 상시 대기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