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 5대 강국 도약"…정부도 팔걷었다

머니투데이 조성훈 기자 2020.09.22 05:00
글자크기

[3D프린팅 강국만들자]④ 2022년까지 시장규모 1조원돌파...성공사례 적극 발굴키로

"3D프린팅 5대 강국 도약"…정부도 팔걷었다


정부도 3D프린팅 산업 육성에 팔을 걷었다. 우리 정부는 2015년 3D프린팅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3차원 프린팅 산업진흥법’을 제정한 바 있다. 이후 2017년 제1차 3D 프린팅 산업 진흥계획(3년계획)을 수립해 산업 수요창출과 유망분야 기술개발, 활용기반 조성 등에 나섰다. 이처럼 3D 프린팅 산업 조성을 위한 제도적 여건은 갖췄지만 시장은 좀처럼 열리지 않았다.

기술 성숙도가 떨어져 공공시범 사업이나 교육 수요에 머물렀고 정작 산업성장을 이끌 고부가가치 산업에서의 기술 접목이 미흡했다. 3D프린팅 전문기업이나 각 산업분야에서 관련 설계를 수행할 고급인력도 턱없이 부족했다.



정부가 궤도수정에 나선 이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6월 발표한 제2차 3D프린팅 산업 진흥계획에 따르면, 실제 산업현장에 적용한 성공 사례발굴과 산업생태계 조성에 무게를 뒀다. 해외에서 금속 3D프린팅 성공사례가 잇따르자 미국과 독일, 중국, 일본 등 제조업 강국들도 제조공정 혁신을 위한 3D 프린팅 육성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우리 정부도 이 분야에서 머뭇거리다 더 이상 늦어선 제조분야 경쟁력에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고 봤다.

3D프린팅 기술실증과 생산공정 성공모델 발굴에 주력
정부는 3D 프린팅 산업 현장 활용을 늘리고 차별화된 기술력 확보로 3D 프린팅 분야 글로벌 5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정부는 우선 산업 현장에 3D프린팅 활용을 확산하기 위해 의료기기, 건설 등 유망분야 기술 실증에 나서고 산업단지 대상 3D프린팅 기술 전(全) 생산공정 적용을 통한 사업화 성공모델 발굴 등에 주력하기로 했다. 의료분야의 경우 3D프린팅 의료기기의 임상이나 실증 적용을 고도화하기 위해 임상품목을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등 5개에서 인공관절, 척추 임플란트 등 3∼4등급 의료기기로 확대한다. 또 국방, 발전, 철도 등 공공분야를 대상으로 공공조달체계를 통해 수요기관과 공급사를 연계해 3D프린팅 부품시장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3D프린팅 5대 강국 도약"…정부도 팔걷었다
이밖에 Δ소재·장비·소프트웨어 등 핵심기술 자립화 Δ설계·공정제어 분야 3D프린팅 요소기술 지능화 등 3D프린팅 미래기술 선점 Δ전문인재 양성(설계·신소재 분야 대학·대학원 전문과정 운영) Δ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설립 등 3D프린팅 산업의 기업환경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진흥계획을 통해 2022년까지 국내 3D프린팅 시장규모를 1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지난 2018년 3곳에 불과했던 연 매출액 100억원 이상의 3D프린팅 기업을 10개로 키워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나아가 3D프린팅 선도국으로 꼽히는 미국 대비 79.9%에 불과한 국내 관련 기술경쟁력을 2022년까지 85%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