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분광 광유도력 현미경 개발… 세계 첫 '나노입자 표면' 관찰 성공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20.07.30 12:00
글자크기
광유도력 현미경(PiFM)의 측정 원리 모식도/사진=표주연광유도력 현미경(PiFM)의 측정 원리 모식도/사진=표주연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개별 나노입자를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소재융합측정연구소 나노분광이미지팀은 독자 개발한 '초분광 광유도력 현미경'을 이용해 나노입자 표면을 화학적 이미지로 관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나노입자의 안전성 검증 및 새로운 기능의 나노입자 개발에 속도가 더해질 전망이다.

나노입자는 표면적이 넓어 반응이 빠르고 작아서 인체에 쉽게 유입된다. 표면상태나 표면에 붙어 있는 분자에 따라 성질이나 독성 유무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원하는 성질의 분자층을 나노입자에 코팅해 활용한다. 표면을 특정 분자로 둘러싸면 원하는 질병 세포만 조준해 진단, 약물전달 및 치료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암세포를 치료할 수 있는 분자로 표면을 코팅한 나노입자는 인체 내 암세포 주위를 찾아가 표적 치료가 가능하다.



나노입자의 특성을 제어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표면에 원하는 성질의 분자층이 잘 결합했는지 정밀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은 나노입자의 경우 원하는 성질의 분자층이 표면에 코팅되지 않은 경우 적은 양을 사용해도 세포 독성을 나타낸다. 반면, 안전한 물질로 표면이 코팅된 경우 세포 독성이 줄어든다는 보고가 있다. 문제는 전통적 측정방식인 적외선 분광법으로는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데 있다.

나노입자는 크기가 매우 작아 입자 하나하나를 구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입자 하나 표면층의 분자 수준 분석은 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초분광 광유도력 현미경을 개발했다. 현미경 렌즈 대신 미세탐침이라는 새로운 장치를 시료 근처에 설치하고, 레이저 빛을 탐침에 쪼인다. 모아진 빛은 시료와 상호작용해 탐침에 미세한 힘(광유도력)을 발생시킨다. 이 힘에 대한 시료의 초분광 이미지를 측정하면 개별 나노입자의 특성을 초정밀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유도력 현미경의 작동 모식도/사진=표준연광유도력 현미경의 작동 모식도/사진=표준연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에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분자를 결합한 나노입자, 산화철 입자에 폴리머 입자를 결합한 나노입자의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했다.

이은성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나노입자의 표면화학정보를 개별 입자 수준에서 측정할 수 있으므로 나노입자의 성능을 인체 적용 전에 미리 검사할 수 있다”며 “세포 내의 활성산소 증가 등 몸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나노입자의 불안전성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태걸 부원장(나노안전성기술지원센터장)은 “나노입자의 생체 내 안전성 측면에서 개별 나노입자 수준의 정밀분석은 꼭 필요했던 일”이라며 “이번에 개발한 측정기술로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표준연 소재융합측정연구소 이은성 책임연구원(좌), 장정훈 선임연구원(우)이 나노입자 이미지를 관찰하고 있다/사진=표준연표준연 소재융합측정연구소 이은성 책임연구원(좌), 장정훈 선임연구원(우)이 나노입자 이미지를 관찰하고 있다/사진=표준연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