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암컷 분비물로 야생멧돼지 유인…ICT로 가축전염병 막는다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20.04.28 09:52
글자크기
ETRI SDF융합연구단 유한영 단장이 전국 돈사에 설치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는 모습/사진=ETRIETRI SDF융합연구단 유한영 단장이 전국 돈사에 설치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는 모습/사진=ETRI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을 연구하기 위해선 확산 주범인 야생멧돼지의 검체를 채취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멧돼지가 주로 서식하는 7부 능선 또는 산 정상까지 연구진이 직접 무거운 포획틀을 날랐다. 유인물로 고구마, 감자, 옥수수 등을 사용했지만 허탕을 칠 때가 많았다. 사냥개와 사냥꾼을 동원하기도 했지만 후각이 예민한 멧돼지는 화약냄새를 맡으면 그 즉시 다른 곳으로 이동해 멧돼지 포획에 번번이 실패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구제역 대응 융합연구단이 그동안 쌓은 가축전염병 대응 노하우와 폐쇠회로(CC)TV, 감응 센서 등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해 해결했다.



ETRI 구제역 대응 융합연구단은 최근 사회적 문제인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방지를 위해 사육돼지(집돼지) 암컷의 소변과 분비물로 야생멧돼지를 높은 산이 아닌 평지로 유인하는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야생멧돼지를 이전보다 쉽게 포획할 수 있는 유인책을 낸 것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사람에게 전염되지는 않지만 돼지에게는 치사율이 100%에 달할 정도로 치명적 감염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9월, 사육 돼지의 첫 발병 이후 총 14차례 발생이 있었다. 야생멧돼지는 지난해 누적 확진 수가 55건에 그쳤지만, 올해 발병이 급증해 500건을 넘어섰다.



연구진은 경북동물위생시험소와 경북 군위군 소재 둥지농장과 협력으로 암퇘지 분비물을 얻어 전북 완주군과 충북 옥천군에서 분비물로 인해 야생멧돼지가 유인에 차이를 보이는지 실험했다.
(왼쪽부터)ETRI SDF융합연구단 박현, 박혜진 연구원이 돈사에 설치된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시연하고 있는 모습/사진=ETRI(왼쪽부터)ETRI SDF융합연구단 박현, 박혜진 연구원이 돈사에 설치된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시연하고 있는 모습/사진=ETRI
처음 3일 동안에는 아무런 장치를 하지 않고 폐쇠회로(CC)TV만 설치, 관찰 지역이 평소 멧돼지 출몰이 거의 없는 지역임을 확인했다. 이후 분비물을 살포한 뒤 관찰한 실험에서는 최대 7마리 멧돼지를 유인하는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진은 우연히 멧돼지가 출몰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약 2개월간 총 4회에 걸쳐 반복 실험을 진행했다. 모든 실험에서 연구진은 분비물이 있는 경우에만 멧돼지가 유인됨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실험 결과로부터 높고 깊숙한 칠부능선의 야생 멧돼지 출몰 예상 지역을 찾아 헤맬 필요 없이 낮은 산과 평지에서도 멧돼지를 손쉽게 포획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향후 포획한 멧돼지는 관련 기관과 협업을 통해 검체를 확인,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멧돼지를 유인하는 냄새, 소리 등 주요 요인을 분석해 고라니, 야생 고양이 등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ETRI SDF융합연구단은 그동안 구제역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AI)를 활용한 통합 관리시스템 연구를 진행해오던 중 아프리카돼지열병이라는 국가·사회 현안이 발생하면서 대상 범위를 넓혀 대응 체계를 확장하고자 이번 실험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ETRI 연구진이 낸 아이디어로 향후 ICT 기술을 접목한 포획틀 작동원리를 설명한 CG 모습/사진=ETRIETRI 연구진이 낸 아이디어로 향후 ICT 기술을 접목한 포획틀 작동원리를 설명한 CG 모습/사진=ETRI
현재 SDF융합연구단은 구제역 등 질병을 조기 감지하기 위해 각종 ICT 센서, 가축의 울음소리와 활동 영상 등으로 질병 발생을 알아내는 AI 기술을 개발 중이다. 또 구제역 바이러스 확산 요소인 차량, 가축, 사람 등의 관리를 통한 종합적 질병 대응 플랫폼 개발도 연구하고 있다.

경북동물위생시험소 김영환 질병진단과장은 “야생 멧돼지의 개체수 조절이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전염병 확산 차단에 가장 큰 핵심요인”이라며 “이번 연구진의 실험성공으로 향후 가축전염병 방역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