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계, 日경제보복 대응 ‘中企 기술자문단’ 잇단 출범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19.09.17 12:00
글자크기

KAIST에 이어 UNIST·DGIST·GIST도 기술 지원 합류…상담 및 연구장비 개방

DGIST 중앙기기센터 첨단 분석장비 모습(왼쪽부터 반도체소자 검사용 마이크로스코프, BIO-TEM, 광전자분광표면분석기, 전자빔리소그래피 시스템)/사진=DGISTDGIST 중앙기기센터 첨단 분석장비 모습(왼쪽부터 반도체소자 검사용 마이크로스코프, BIO-TEM, 광전자분광표면분석기, 전자빔리소그래피 시스템)/사진=DGIST


일본이 수출 규제 등 경제보복을 단행한 후, 피해가 예상되는 국내 기업들의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한 과학기술계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17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이하 UNIST 기술자문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UNIST 기술자문단은 첨단소재, 에너지화학, 기계항공, 전자컴퓨터, 장비서비스, 경영지원 등 총 6개 분과 120명의 연구진으로 꾸려졌다.



4개 분과(첨단소재, 에너지화학, 기계항공, 전자컴퓨터)는 UNIST 이공계열 교수진으로 이뤄졌고, 장비서비스 분과는 UNIST 연구지원본부(UCRF) 기술진으로 구성됐다. 경영지원 분과는 기술사업화 전문가가 참여한다.

특히 연구지원본부(UCRF)는 나노소자 팹 등 반도체 전 공정을 지원할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장비를 보유했다. 이를 통해 소재 기업과 반도체 기업의 가교가 될 수 있는 반도체 소재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 기술자문단은 지난달 출범한 ‘미래 반도체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기술자문단장은 미래 반도체 연구센터장인 정홍식 신소재공학부 교수가 맡았다. 정 단장은 “당장 일본의 수출규제로 어려움을 겪은 반도체 산업 전반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면서 향후 반도체 분야 신성장동력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도 중앙기기센터를 확대 개방해 소재‧소자에 대한 검증, 분석, 실증이 가능한 일괄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앙기기센터에는 반도체 FAB(소자클린룸), 실리콘계 반도체 공정, 초소형정밀기계기술(MEMS), 통신소자, 센서, 마이크로가공, 계측시뮬레이션 및 나노·바이오분석을 위한 공용장비 등 총 170여 대가 구축돼 있다.


DGIST는 “중앙기기센터를 통해 국내 중·소 기업체에서 개발된 소재가 대기업 검증을 통과하도록 공정 플랫폼 및 정밀 분석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DGIST는 중앙기기센터 활용과 함께 소재분과, 로봇·자동차·장비분과, ICT(정보통신기술) 분과, 생명·바이오분과, 분석·실증분과 등 총 5개 분과로 구성된 기술자문단도 운영한다. 자문위원으로는 DGIST 소속 182명의 교수·연구원·기술원이 참여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도 'G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을 발족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자문단은 첨단소재분과, 물성·화학분과, 전기·컴퓨터분과, 에너지·환경분과, 기계부품분과 , 융복합분과, 바이오소재분과 등 총 7개 분과로 구성됐다. 110명의 GIST 교수 및 연구원이 자문위원으로 참여한다.

자문단은 크게 기술 개발과 경영지원, 장비공유 활동에 나선다. 연구 인력과 교원, 전문가 매칭을 통해 기술진단 및 지도, R&D(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연구시설 및 장비, 테스트 플랫폼을 개방한다. 또 특허 지식재산 활용 전략제도, 인턴십 연계 연구프로그램 등도 운영한다.

한편, 앞서 지난 8월 카이스트(KAIST)와 서울대도 일본 경제보복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중견·중소기업을 돕기 위해 각각 '특별전담팀(TF)'과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 등을 가동, 애로기술에 대한 자문·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를 중심으로 소재·부품·장비산업 기술지원단을 운영중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