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소·부·장 기초원천 R&D에 3000억 투자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19.09.09 14:00
글자크기

전년 대비 규모 2배 확대…소재혁신전략본부 신설 및 테스트베드 구축

/자료=과기정통부/자료=과기정통부


정부가 내년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 R&D(연구·개발) 투자를 올해(약 1600억원)보다 두배 늘린다. 공공연구기관으로 이뤄진 ‘소재 연구기관 협의회’는 산·학·연 협업 강화를 위해 확대·개편해 ‘소재혁신전략본부’로 내년초 새롭게 출범한다. 이밖에 소재·부품 연구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소재연구 데이터 플랫폼’과 실증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한 ‘반도체 공공 테스트베드’도 구축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내년도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 R&D에 약 3000억원을 투자한다고 9일 밝혔다. 올해보다 1400억원 늘어난 규모다.



또 소재·부품 등에 특화된 기초연구실도 60여개를 지정·육성한다. 지난 7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나노·미래소재 원천기술 개발사업’(2020~2032년, 총 4004억원)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보유한 원천기술을 기업 수요와 이어 기술 상용화 간극을 해소하는 ‘소재혁신 선도 프로젝트’(2020년, 326억원)도 새롭게 추진한다.

유연전자, 자가에너지 등 미래소재를 중심으로 지원해왔던 기초원천 R&D 투자는 반도체용 도금 소재, 고온․초고전압 반도체 등 주력산업 분야의 기술자립이 시급한 소재 개발과 선제적 위기 대응 소재 등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방사광 가속기 기반의 반도체 검사용 극자외선(EUV) 광원 및 검사장비 개발(2020년 115억원)과 고도의 측정·분석을 위한 연구장비의 국산화 기술개발(2020년 73억원)도 함께 추진한다.

기초·원천 R&D 추진 시 산·학·연의 과도한 과제 수주 경쟁을 완화하고, R&D 주체 간 역할 분담·연계도 강화한다. 과기정통부는 기존 11개 공공연구기관 중심으로 운영돼온 ‘소재 연구기관 협의회’를 확대·개편해 소재혁신전략본부를 내년초 출범시킨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산·학·연간 협업채널을 강화하고, 대학․출연연·기업의 역할분담·협력의 다양한 성공모델을 창출한다는 목표다. 또 기술 수준과 산업 성숙도 등을 고려, 경쟁형 및 도전형 R&D 방식을 개별 특성에 맞게 적용할 계획이다.

소재·부품 R&D 주체 간 정보 개방·공유를 활성화하고 실증 인프라도 강화한다. 먼저 소재·부품 R&D 과정에서 개별 연구자들이 축적한 다양한 연구데이터를 수집·공유·활용하는 ‘소재연구 데이터 플랫폼(2020~2026년)’ 개발 사업에 450억원을 투입한다. 반도체 소재·부품 연구자와 중소기업이 해외에 나가지 않고도 실제 반도체 공정과 유사한 환경에서 연구결과와 시제품을 실증할 수 있는 ‘반도체 공공 테스트베드’(2019~2022년, 450억원)도 구축한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반도체 관련 국내 업체 대부분이 자체 평가팹과 12인치 패턴 웨이퍼 평가 장비가 없어 대부분 테스트를 해외시설에 의존하고 있다”며 “이 같은 현장애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