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저영향개발기법' 적용해 택지 조성

머니투데이 김희정 기자 2019.06.16 12:00
글자크기

왕숙, 창릉, 교산, 대장, 계양, 과천 등 기존 물순환 체계 최대한 유지

3기 신도시 '저영향개발기법' 적용해 택지 조성


3기 신도시 6곳 모두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해 친환경적인 공공택지로 조성한다.
저영향개발기법(Low Impact Development)이란 개발 이전 자연상태의 물 순환 체계가 유지되도록 빗물을 유출 시키지 않고 땅으로 침투‧여과‧저류해 기존 자연 특성을 보존하는 개발기법이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환경부(장관 조명래), 한국토지주택공사(사장 변창흠),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장준영) 등 4개 기관은 '친환경 공공택지 조성을 위한 관계기관 업무협약(MOU)'을 오는 17일 오후 3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체결한다.



이번 업무협약은 남양주 왕숙, 고양 창릉, 하남 교산, 부천 대장, 인천 계양, 과천 과천 등 3기 신도시 공공택지에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해 친환경 도시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행보다. 4개 기관은 저영향개발기법 도입 및 적용을 위한 실무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저영향개발기법 정책 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택지를 조성할 때 저영향개발기법을 적용하면 아스팔트 포장으로 인해 땅이 물을 충분히 머금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폭우 시 도시 침수, 하천의 건천화, 오염물질의 하천 유입, 도시 열섬효과 등 환경 문제를 저감할 수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3~2018년 2개소에서 시범 사업을 한 결과, 저영향개발기법 적용 전후 수질오염물질 농도(TSS, 총 부유물질 기준)가 최고 21% 저감됐다. 공기질‧수질 개선에 따른 경제적 편익은 시범사업 최대 446억 원(30년간 기준), 비용대비편익(B/C)은 최대 2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도시급(330만㎡ 이상) 신규 공공택지 5곳의 경우, 모두 지구 내에 하천이 흐르고 하천을 중심으로 친환경 수변공원을 계획하고 있어 저영향개발기법 적용 시 입주민들이 누리는 편익이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선호 국토교통부 제1차관은 "신규 공공택지 조성에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를 비롯한 관계기관이 손을 잡고 각자의 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해 신규택지 계획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외에도 전체면적의 1/3을 공원‧녹지로 조성, 수소버스 슈퍼 간선급행버스를 운영하는 등 신규택지를 환경 친화적인 도시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박천규 환경부 차관은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 면적 증가로 물순환 체계가 훼손되면서 비점오염 증가, 건천화, 도시 열섬화, 지하수 수위저하, 도시침수 등 다양한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저영향개발기법으로 환경 문제가 없이, 최대한 개발 전 물순환 상태에 가까운 도시가 되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