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회의 세계경제 영어路](8)채무과잉

머니투데이 김신회 기자 2016.10.08 09:00
글자크기

The negative implications of excessive private debt

편집자주 세계 경제와 국제 금융시장을 영어로 읽는 길을 놓아 드립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 월스트리트저널(WSJ), 블룸버그 등 유력 매체에서 쓰는 진짜 경제 영어를 주요 개념에 대한 해설과 함께 전합니다.

[김신회의 세계경제 영어路](8)채무과잉


국제통화기금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이 사상 최대 규모로 불어난 글로벌 부채가 세계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IMF는 5일(현지시간) 낸 재정감시(Fiscal Monitor) 보고서에서 지난해 말 현재 전 세계 부채가 152조달러(약 16경9328조원)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명목가치로 2002년에 비해 2배 이상 늘었다. 이로써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Gross Domestic Product) 대비 부채 비율은 2002년 200%에서 지난해 225%로 역시 사상 최고 수준이 됐다.



주목할 건 전 세계 부채 가운데 3분의 2가 가계와 비금융기업 등 민간부문의 빚이라는 점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가 부채도 늘었지만 민간부문 부채가 더 급격히 늘었다.

IMF는 공공부채가 재정위기(sovereign debt crisis)를 초래할지 몰라도 금융위기(financial crisis)를 일으킬 가능성은 없다고 봤다. 반면 민간부채 수준이 높아지면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도 커진다고 경고했다.
[김신회의 세계경제 영어路](8)채무과잉
IMF는 보고서에서 예문1처럼 글로벌 부채 현황을 설명했다. gross는 GDP에서 보듯 ()이라는 뜻이다. gross debt하면 총부채가 된다. non(-)financial sector비금융부문으로 은행 등 금융업종을 제외한 기업과 가계를 의미한다. 뒤에서 private sector(민간부문)로 받았다. 정부와 공공기관을 아우를 땐 public sector(공공부문)라고 한다. double2배로 되다라는 의미의 동사로 썼다. 앞에 more than이 붙어 2배 이상이 되다가 됐다.



in nominal terms명목상으로라는 의미다. 숫자 자체만 따지는 경우에 쓴다. in real terms실질적으로가 된다. GDP가 액수로 얼마나 늘었는지 나타내는 게 명목성장률(nominal growth rate)이다. 실질성장률(real growth rate)은 명목성장률에서 물가상승률(inflation rate)을 뺀 실제 성장률을 의미한다. 명목금리(nominal rate), 실질금리(real rate)도 마찬가지다. consist of~로 구성되다, liabilities는 복수형으로 부채를 의미한다. all-time high사상 최고record high라고도 쓴다.
[김신회의 세계경제 영어路](8)채무과잉
IMF는 예문2에서 과도한 민간 채무의 부작용을 경고했다. IMF에 따르면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이 평균치보다 연간 1%포인트 높아질 때마다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0.4%씩 증가한다.

implication영향, 결과, 암시라는 뜻이다. overhang은 동사로 (~ 위로) 돌출하다, 명사로는 돌출부, 잉여, 잉여이라는 뜻이다. 불쑥 튀어나온 걸 의미한다. debt overhang채무과잉이 된다. 앞에서 쓴 excessive debt(과잉채무)와 같은 말이다. term~라고 일컫다라는 뜻의 동사로 썼다. literature문학 말고 문헌이라는 뜻으로도 쓴다. deleveraging, deleverage는 부채를 줄이는 걸 말한다. 지렛대를 의미하는 leverage는 빌린 돈을 지렛대 삼아 더 큰 수익을 추구하는 걸 의미한다. adjustment는 조정이라는 의미로 여기선 앞에 나온 deleveraging을 대신하는 의미로 썼다. set the stage for~를 위한 무대()를 마련하다라는 뜻이다. feedback loop피드백 회로라는 의미다. vicious feedback loop악순환이 된다. vicious circle과 같다. vicious 대신 virtuous를 쓰면 선순환이 된다.

글로벌 부채 급증세를 둘러싼 우려는 주요 중앙은행이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을 위해 실시해온 초저금리(ultra-low rates[borrowing costs]) 및 양적완화(QE·quantitative easing) 정책의 모순을 보여준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중앙은행이 경기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대출을 촉진하는 부양책을 쓴 게 결국 빚더미를 만들어 세계 경제를 위협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IMF와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들은 각국 정부가 재정지출을 확대해 경기부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다. IMF도 이번 보고서에서 정부의 '친성장 재정정책'(growth-friendly fiscal policies)을 촉구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를 되살리는 과정에서 중앙은행들이 과도한 짐을 떠안아온 만큼 이제는 정부가 나서야 할 때라는 것이다.
[김신회의 세계경제 영어路](8)채무과잉
[김신회의 세계경제 영어路](8)채무과잉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