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소득 늘었지만..여성·고령층 취업 증가한 영향-금융硏

머니투데이 권다희 기자 2014.11.23 12:00
글자크기

1인당 임금 증가율보다 가계소득 증가율 높아...교육비 부담, 빚 상환 위한 50대 여성 취업 늘어

올해 가계소득 증가율이 표면적으로는 양호해 보이지만 이는 여성과 고령층이 생활비 부담을 위해 노동시장에 뛰어든 결과라 소득 여건은 오히려 악화됐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임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3일 발표한 '가계소득 상황 및 시사점'에서 "올해 가계 근로소득은 4.7% 늘어났지만 근로자 1인당 임금은 2.3~2.6% 늘어났다"며 "가계 근로소득이 근로자 1인당 임금보다 빠르게 늘어난 건 가구주가 아닌 가구원이 노동시장에 신규 유입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가구주가 아닌 가구원이 신규로 소득활동을 시작하면 가계 근로소득은 늘지만 1인당 임금은 하락한다. 가구주가 아닌 가구원의 노동생산성이 가구주보다 낮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 월평균 가계 근로소득은 283만원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4.7% 늘어났다. 또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나타난 지난 8월 기준 임금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은 223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3% 증가했다.



이 같은 통계를 바탕으로 임 연구위원은 "실질 GDP 성장률인 3.5%와 물가상승률(1.3%)을 감안할 때 명목 가계소득 증가율이 4.7%면 낮은 수준은 아니지만 가계소득 증가가 가구주가 아닌 가구원의 소득 활동에 의해 비롯됐을 가능성이 있어 개인의 소득 여건이 개선됐다고 보긴 힘들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고용이 이례적으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가구주 소득부진, 가계부채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 교육비 부담 등으로 인해 경제활동을 하지 않던 여성, 중고령층 등 고용취약계층이 노동시장에 신규로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임 연구위원은 "50대 여성들이 교육비 부담과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을 위해 사회복지, 사업지원서비스 등의 일자리에 적극 진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경제성장률 상승에도 소비 증가세가 제한되고 있는 원인을 시사하는 대목이라 주목된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작년 보다 0.5%포인트(p) 상승한 3.5%로 추산되지만 민간소비 증가율은 2%에서 1.9%로 오히려 0.1%p로 하락한 것으로 파악된다.

임 연구위원은 "가계소비는 주로 가계소득에 좌우된다"며 "올해 가계소비 증가를 제약한 일시적 요인으로는 세월호 침몰사고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이 있고 구조적 요인으로는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원리금상환부담, 수명연장으로 인한 평균소비성향 하락 등이 있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