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불청객, 장마철 뽀송뽀송하고 스마트하게 보내세요

머니위크 강동완 기자 2013.06.18 21:33
글자크기
여름 불청객, 장마철 뽀송뽀송하고 스마트하게 보내세요


여름을 알리는 장마철, 올해는 평년보다 빠른 6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장마철이 시작됐다.올해는 특히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부들은 장마철 습하고 눅눅해진 집안 내 옷가지와 이불, 운동화 등 세탁 관리가 가장 큰 고민 일 것이다.

잦은 비와 찜통 같은 더위로 날씨가 습해지면서 집안에 세탁물도 잘 마르지 않아 냄새가 나는가 하면 눅눅해진 옷장 속 이불들은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기 쉽기 때문에 주부들은 장마철 집안 청소 및 세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의류나 침구류, 운동화 등 매일 사용하고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이므로 깨끗하고 청결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자주 세탁을 해주며, 올바른 관리법으로 보관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올 여름 세탁전문 프랜차이즈 크린토피아 R&D팀의 박성민 연구원이 알려주는 장마철 눅눅하고 습한 집안 속 의류 및 침구류 세탁 관리법을 참고하여 장마철 뽀송뽀송하고 스마트하게 보내보자.



◇ 장마철, 잘 마르지 않는 침구류 세탁법
땀이 많이 나는 여름철에는 평소보다 이불 세탁을 자주하게 된다. 특히 장마철에는 이불 역시 쉽게 눅눅해지기 때문에 더욱 청결한 관리가 필요하다.

베개와 이불은 일주일에 한 번 비가 오지 않는 날 햇볕에 말리는 일광 소독을 하는 것이 좋다.

햇볕의 자외선은 섬유 표면에 흡수돼 세균을 없애는 살균 작용을 하기 때문에 1-2시간에 한 번씩 앞 뒤로 뒤집어 가면서 골고루 햇볕을 쐬어준다.


시간은 햇볕이 잘 드는 낮 12시부터 오후 4시 사이가 가장 좋다. 중간중간 두드려주면서 말리면 집먼지진드기도 70%까지 없앨 수 있다. 건조 시에는 바람이 통하는 그늘에 말리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세탁법으로 자주 세탁을 해주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이불은 부피가 커 가정용 세탁기로 세탁이 어렵고 건조 공간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 장마철에는 습기 때문에 이불이 잘 마르지 않아 위생적으로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악취가 나기도 하기 때문에 이럴 때는 세탁 전문 업체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 장마철, 눅눅한 의류 세탁 및 관리법
장마철에는 하루 입었던 옷은 그날 바로 세탁하는 것이 좋다. 땀이 밴 옷을 쌓아둘 경우 실내 습도가 높기 때문에 변색이나 악취는 물론 곰팡이가 필 수도 있다.

또한, 세탁하지 않은 옷을 옷장에 두면 산화작용 때문에 옷장 속까지 곰팡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세탁 후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탁 시 따뜻한 물로 세탁 한 후 마지막 헹굼물에 식초를 넣어주면 악취와 세균번식을 막고 변색 걱정 없이 오래 입을 수 있다. 단, 식초가 옷에 직접 닿지 않도록 물에 희석해서 넣어야 한다.

그리고 장마철에는 대부분 날씨가 흐리므로 건조 시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서 옷이 겹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을 두고 널어 주며, 걷을 때는 선풍기로 남은 수분을 한 번 더 날려줘 눅눅함을 없앤 후 보관하는 것이 좋다.

◇ 장마철, 비에 맞은 가죽 가방 관리법
가죽 가방은 비에 젖으면 가죽이 망가지거나 얼룩이 남으며, 습도가 높으면 곰팡이가 생길 확률이 높기 때문에 장마철 가죽 가방 관리가 중요하다.

외출 후 빗물에 젖은 가방은 마른 수건으로 바로 닦아준 후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말려 주면 되고, 오염이 되었을 때는 식빵으로 살짝 문질러 오염을 제거 해 주면 좋다. 그리고 오염 제거 때 지우개로 문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가죽의 염색이 벗겨질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크린토피아 R&D팀 박성민 연구원은 “잦은 비와 높은 온도로 인해 습한 장마철은 눅눅해진 의류 및 침구류 등의 세탁 관리가 가장 어렵고 중요한 때”라며, “되도록 세탁은 자주 해 세균 번식을 막고, 건조기나 선풍기를 활용해 세탁물이 보송보송 해질 때까지 완전히 건조시켜 보관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또한 올바른 세탁 및 관리법을 숙지하고 보관하거나 세탁 전문 편의점 등에서 안내를 받고 세탁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라고 전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