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건설산업 어디로 갈까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2011.05.04 08:15
글자크기
[기자수첩]건설산업 어디로 갈까


건설사들이 신규수주난에 허덕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공공공사가 4대강에 집중되고 중동의 봄 사태로 인해 해외건설 수주는 예전 같지 않다.

대형건설사 모임인 한국건설경영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31개 회원사들의 건설수주는 18조7923억원으로 전년 동기(20조8915억원)대비 10%나 줄었다. 국내 수주액이 11조6315억원, 해외 수주액이 7조160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 13.5%가 각각 감소했다.



대형건설사들은 실적을 점검하면서 수주확대 전략을 고심하고 있지만 상황이 녹녹치 않다. 공공공사 발주 감소는 앞으로도 계속될 수밖에 없다. 분양시장이 살아났다고는 하지만 새로 주택사업을 수주하기에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이 만만치 않다.

재개발·재건축 수주는 공공관리제 시행 등의 여파로 지난해와 같은 조 단위 수주는 불가능하다. 해외건설에 희망을 걸고 있지만 국내·외 업체간 경쟁이 심해져 걱정이다. 자전거산업인 건설산업 특성상 신규 수주는 건설사에 가장 필요하다.



건설사마다 5년 이상 수주잔고가 쌓여있다고는 하지만 1~2년 가량 수주가 급감하면 인력 구조조정 등 후폭풍이 거세지기 때문에 수주목표 달성은 필수다.

이처럼 건설사에겐 절실한 수주이지만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건설산업의 비중 축소, 신규 건설보다는 유지보수로 전환되고 있는 건설산업 구조 변화 등의 여파로 더이상 물량이 늘어나기는 어렵다. 물량이 줄면 건설사들이 많이 있을 필요도 없다.

최근 건설산업 위기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문제도 있지만 이같은 건설시장 상황이 반영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구조조정 타이밍이 왔다는 것이다.


정부의 고민도 여기에 있다. 건설사들의 급속한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공사 물량을 늘려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구조조정도 필요하지만 건설산업이 경착륙할 경우 금융, 하도급업체, 자재 등 전후방산업으로 후폭풍이 거세져 국내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커질 수밖에 없다.

정부는 지난 1일 '건설산업 연착륙 및 주택거래 활성화방안'을 내놓았다. 부디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건설산업 구조조정이 가능한 대책이 되기를 바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