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유럽, 스마트 그리드 "내가 먼저"

김병근 기자 2009.06.17 11:11
글자크기

[세상을 바꾸는 그린 비즈니스]1부<상>; 왜 스마트 그리드인가?

-미국, 2007년 그리드 2030 비전 발표, 법제화 추진
-영국, 2020년까지 건물 80% 스마트 그리드 구축 계획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비롯한 전 세계 기업들도 스마트그리드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지난 5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개최된 'G8 에너지장관회의'에서는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 그리드가 주요 의제로 부각되기도 했다.

미국은 '그리드 2030 비전'을 발표, 스마트그리드의 법제화를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07년 스마트그리드 지원 방안을 연방 법안으로 통과시킨 것.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스마트그리드 연구개발과 시범사업 등을 국가 정책 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게 이 법안의 골자이며 매칭펀드 등의 자금지원책도 포함돼 있다.

특히 미국은 2003년 광역 정전 사태를 겪은 후 노후화된 배전망을 대체하기 위한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적극적이다.

최근 송배전망의 고도화 사업 추진 및 스마트그리드 개발에 110억 달러를 투자키로 결정하는 등 스마트그리드를 경기부양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그린뉴딜(Green New Deal)정책의 핵심으로 내세우고 있다.


유럽은 수년 전부터 유럽연합(EU) 집행부 내에 스마트그리드를 유럽에 구축하는 조직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통해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고 EU 국가간 전력 활성화 등을 꾀한다는 전략이다.

유럽은 우선 2020년까지 전 건물의 80%에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정했다.



국가별로는 영국 정부가 총 70억 파운드를 투입해 2020년까지 스마트 계량기(AMI) 보급을 대폭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컨설팅 기업 캡게미니에 따르면 현재 유럽의 AMI 보급 수준은 전체 가정의 6%에 불과하지만 오는 2012년에는 30~40%로 보급률이 증가할 전망이다.

독일은 남부 지역에서 'MEREGIO'(Minimum Emissions Region)로 알려진 스마트그리드 프로젝트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일본, 호주 등의 국가들도 스마트그리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노력 중이다.

중국의 대규모 전력망 프로젝트 발표도 임박한 것으로 전해지는 등 스마트그리드 열풍에는 국경이 없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