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KT' 투자규모 유지할까

머니투데이 신혜선 기자 2009.01.15 07:00
글자크기

[KT-KTF 합병 藥?毒?]<중>투자축소->시장위축 후유증 우려

KT-KTF 합병인가에 앞서 시장지배력 전이나 공정경쟁을 저해할 수 있는 요소를 미리 점검해야 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또 하나의 체크포인트는 두 회사의 합병에 따른 '투자위축' 문제와 이로 인한 통신 산업 위축 가능성이다.

두 회사의 합병인가 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도 '융합'이라는 거대한 흐름에서 KT와 KTF의 합병을 막겠다는 의도는 거의 없어 보인다. 다만, 두 회사의 합병에 따른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응방안을 마련하는데 고심하고 있다. 그 방안이 인가조건으로 가시화될 가능성이 높다.



KT와 KTF의 합병자금은 대략 1조2000억원 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 가운데 일부를 신주 발행이나 자사주 처분을 통해 조달한다고 해도 최소 5000억원의 현금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KT의 유동성을 감안할 때 50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그다지 부담스럽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합병비용 최소 5000억원?



문제는 현재 경기상황이다. 위축된 경기가 풀리려면 빨라야 연말이라는 게 대부분분의 시각이다. 이미 기업들은 허리띠를 최대한 졸라매며 위기에 대응하고 있다. KT 역시 프로세스 단순화, 조직축소, 비용절감 등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비상경영'에 돌입할 태세다.

그러나 정부는 기간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를 전제로 경기부양책을 수립했다.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신성장동력 역시 민간기업의 투자를 전제로 구상됐다.

통신산업에 대한 정부의 주문은 더 강하다. '장비-단말기-콘텐츠' 등이 선순환 고리로 이어지는 통신산업 특성상, KT나 KTF의 투자는 전후방 산업효과를 낳으며 사실상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종잣돈' 구실을 하고 있다. 두 회사의 투자규모는 매년 4조원에 이른다. 그러나 KT와 KTF가 합병되면 이 투자규모가 축소돼 결국 IT산업을 위축시키는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팽배하다.


▲KT-KTF, 최근 4년간 투자 현황(CAPEX 기준, 단위 원)▲KT-KTF, 최근 4년간 투자 현황(CAPEX 기준, 단위 원)


◇합병으로 투자축소 우려

무엇보다 정부가 수출을 목표로 적극 활성화에 나서고 있는 '와이브로'가 딜레마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지난해말 와이브로에 음성 탑재를 허용했다. 사업자의 허가요청에 의해서가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결정한 것이다. 정부의 이 결정으로 KT는 와이브로에 음성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으면 안되게 생겼다.

그러나 KTF와 합병을 앞두고 있는 KT가 와이브로 투자에 적극 나서기는 쉽지않아 보인다. 음성이 지원되는 와이브로는 이동전화와 시장경쟁이 불가피하고, '합병KT' 입장에선 이동전화와 와이브로를 동시에 드라이브한다는 것은 중복투자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KT가 와이브로를 틈새서비스로 추진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결국 투자 활성화를 통해 경기를 부양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하는 현 정부의 정책기조에 이번 KT-KTF 합병은 '복병'이 될 가능성성이 없지 않다.



지난해 SK텔레콤이 SK브로드밴드(옛 하나로텔레콤)를 인수할 당시 정부는 'BcN 투자 의무 확대'를 이행조건으로 내걸었다. 이에 따라 KT와 KTF의 합병조건도 '투자확대 의무'가 될 것으로 점쳐진다. 다만, 규모가 문제다. 방통위가 KT-KTF 합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투자축소와 시장 위축을 어떤 해법으로 풀어나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