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한국 개미가 간다"…폭발하는 美 주식 '직구'

머니투데이 오정은 기자, 진경진 기자 2018.09.07 04:30
글자크기

[美주식 직구 열풍]①8월까지 미국주식 결제금액, 작년 대비 104.5% 급증...미국 기업 달러로 직접 '베팅'

편집자주 부진한 한국 증시에 지친 투자자들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미국 증시에 뛰어들어 '미국 주식 직구(직접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슈퍼리치(거액자산가)들이 페이스북·아마존·넷플릭스·구글 등 미국 4차산업 대표주에 베팅해 대박을 거두자 소액 개인 투자자까지 동참해 해외 주식 '직구 시대'가 본격화됐다.

"POSCO, 삼성물산, 롯데케미칼…수익 못 내는 한국 주식 지겹다. 전량 매도하고 아마존, 페이스북, 알리바바로 갈아탔다. "(미국 주식에 투자한 미래에셋대우 고객 A씨)

[MT리포트]"한국 개미가 간다"…폭발하는 美 주식 '직구'


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 들어 8월 말까지 해외주식 결제금액은 218억9667만달러(약 24조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131억3091만달러) 대비 66.8% 증가했다. 사상 최대치였던 지난해 결제금액(227억1417만달러)에 일찌감치 육박했다. 특히 8월까지 미국 주식 결제대금은 144억3185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70억3068만 달러 대비 104.5% 급증했다.



◇5년 수익률, 나스닥 125.9% vs 코스피 20.58%=8월 말까지 코스피 지수 5년 수익률은 20.58%를 기록했다. 반면 미국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지난 5년간 125.9% 급등했다. S&P500 지수도 5년간 77.68% 올랐다. 국내 증시의 부진한 수익률에 지친 투자자들이 기록적인 강세장이 펼쳐진 미국 증시로 '투자 원정'에 나선 이유다.

특히 지난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슈퍼리치의 미국주식 투자가 두드러졌다면 올해는 500만원~3000만원 전후 소액을 운용하는 일반 투자자의 해외 투자가 급증하는 분위기다. 과거 은행, 증권사 프라이빗뱅커(PB)가 투자를 권유해 미국 주식에 투자했다면 이제는 스스로 계좌를 개설하고 직접 종목을 골라 투자하는 경향이 강화되는 추세다.



손일서 하나금융투자 해외주식팀 과장은 "과거에는 억 단위로 해외 주식을 사는 VIP 고객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 소액 투자자 문의가 급증하고 있다"며 "국내 주식 투자 경험이 없는 신규 투자자까지 해외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등 투자 열기가 뜨겁다"고 설명했다.

수익률로 고심하던 증권사 영업점 직원들도 적극적인 해외주식 영업에 나서고 있다. 코스피가 게걸음하자 국내 주식만으로 고객 수익률을 맞출 수 없는 가운데 사상 최고가를 이어가는 미국 주식이 돌파구가 됐다.

'해외주식 1세대'로 통하는 김세환 KB증권 과장은 "2014년부터 미국 주식을 추천했는데 매번 고점 우려에 투자를 못한 고객이 많았다"며 "하지만 올 들어 한국 주식 수익률이 부진하자 미국 주식에 눈을 돌리는 지점 직원과 투자자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MT리포트]"한국 개미가 간다"…폭발하는 美 주식 '직구'
◇"G1 시대 개막…대세는 미국 주식"=증권가에서는 자기자본 기준 1위 증권사인 미래에셋대우를 중심으로 해외투자 드라이브가 한창이다. 미래에셋대우의 해외주식 잔고는 8월말 기준 5조6000원으로 상반기에만 2조2000억원 늘었다.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되면서 글로벌 패권국이 G2(미국과 중국)가 아닌 G1(미국)이라는 인식이 강화되자 미국 주식 투자붐은 더 뜨거워지고 있다. 증권가에서 VIP 고객을 관리하는 프라이빗뱅커들은 "슈퍼리치를 중심으로 단순한 달러화 보유를 넘어 달러표시채권과 미국 주식에 대한 선호도가 강화됐다"고 말했다.

선우성국 삼성증권 삼성타운금융센터 시니어 PB(프라이빗뱅커)는 "미국 기업은 전 세계 GDP(총생산)의 1/4을 차지하고 미국 증시가 세계 주식시장에서 차지하는 시가총액도 40%에 달한다"며 "미국 주식을 빼놓고 자산관리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투자자들도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기축 통화인 달러로 4차 산업혁명의 선두에 선 기업을 직접 매수할 수 있다는 점이 미국 주식의 투자포인트로 꼽힌다. 고액 자산가 중심으로 한국 주식을 줄이고 미국 주식 비중을 늘리는 추세가 2018년 자산관리의 핵심 트렌드로 부상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