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백지화… 김해공항 확장론 대안될까?

머니투데이 서명훈 기자 | 2011.03.30 17:21

과도한 비용 문제 여전… 24시간 운영도 힘들어

동남권 신공항 후보지로 거론됐던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이 모두 탈락함에 따라 부산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김해공항 확장 역시 과거 2차례에 걸쳐 검토됐지만 많은 문제점이 발견된 전력이 있다. 한마디로 동남권 신공항의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김해공항 확장, 동남권 신공항 대안?
국토해양부(당시 건설교통부)는 지난 2002년 4월15일 경남 김해시 돗대산에서 중국 민항기 추락으로 129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자 교통개발연구원에 용역을 의뢰, '김해공항 안전성 확보방안 연구'란 최종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으로 현재의 활주로를 남해고속도로 방향으로 연장하거나 기존 활주로의 방향을 바꿔서 확장하는 안을 제시했다.

먼저 첫 번째안은 남해고속도로 900m 가량을 지하화해야 한다. 하지만 이 방안 역시 소음피해로 인해 24시간 운영이 불가능하다. 또 인근에 위치한 신어산과 돗대산 등의 장애물로 인한 사고 위험도 그대로 남아 있다.

산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25~30조원이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여기에 추가부지 매입비용과 남해고속도로 지하화 비용이 더해지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존 활주로를 시계방향으로 틀어 신설하는 안은 장애물을 피해 이착륙이 가능해 안전성 확보에 유리하다. 활주로 길이도 3200m에서 3800m로 확장이 가능해 대형 항공기 이착륙도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문제는 소음피해 가구가 기존 693가구에서 7838가구로 대폭 늘어난다는 점이다. 막대한 보상비용이 예상되는데다 이주대책이 없을 경우 24시간 운영이 불가능하다.

'24시간 운영이 가능해야 한다'는 신공항 입지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활주로 공사를 위해서는 공항을 수년간 폐쇄해야 한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2007년 연구용역에서도 김해공항 확장이 쉽지 않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소음 영향권이 넓어지고 비용 또한 과도하게 소요돼 효율성이 높지 않다는 것.

◇동남권 신공항 왜 나왔나?
동남권 신공항의 역사는 지난 199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부산시가 부산권 신국제공항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면서 본격화됐다. 이후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타당성 검토 조사를 지시한데 이어 2007년 8년 당시 이명박 대통령 후보가 신공항 건설을 공약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됐다.

신공항의 필요성은 영남지역의 항공수요가 계속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김해공항의 경우 지난 5년간 승객이 연평균 7% 증가해 2020년이면 포화상태가 될 것이란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2009년 국토연구원 연구결과에도 김해공항은 2025년이면 포화상태 도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김해공항 이용승객이 전년대비 33% 급증해 김해공항의 포화상태는 더 빨리 올 가능성도 남아 있다.

비용 부담도 동남권 신공항의 필요성에 힘을 실어준다. 동남권에 제대로 된 국제공항이 없어 인천공항을 이용하는데 드는 비용이 연간 6000억원에 이른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는 상황이다.

국가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웃 중국과 일본은 아시아 허브공항 육성을 위해 2개의 국제공항을 육성 중이다. 메인 허브공항에 운영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다. 동남권 신공항 역시 인천국제공항을 보완하는 차원에서라도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건드리면 고소"…잡동사니로 주차 자리맡은 얌체 입주민
  2. 2 [단독]음주운전 걸린 평검사, 2주 뒤 또 적발…총장 "금주령" 칼 뺐다
  3. 3 "나랑 안 닮았어" 아이 분유 먹이던 남편의 촉…혼인 취소한 충격 사연
  4. 4 "역시 싸고 좋아" 중국산으로 부활한 쏘나타…출시하자마자 판매 '쑥'
  5. 5 "파리 반값, 화장품 너무 싸"…중국인 북적대던 명동, 확 달라졌다[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