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중국해 평화 찾아오나…필리핀·중국, 인도주의 물자 보급 '잠정 합의'

머니투데이 정혜인 기자 2024.07.22 15:57
글자크기

세컨드 토머스 암초 정박 필리핀 군함 '물자 보급' 허용…
양측 '긴장 완화 필요성' 동의하며 영유권 주장은 고수

/로이터=뉴스1/로이터=뉴스1


필리핀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 중인 남중국해 세컨드 토머스 암초(중국명 런아이자오·필리핀명 아융인) 물자 보급 활동 문제를 두고 잠정 합의했다.

이번 합의는 필리핀이 점령한 해당 지역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 주장으로 양측 간 적대적 충돌이 심화하고, 이 분쟁에 미국이 개입해 더 큰 규모의 갈등이 발생할 거란 우려가 증폭되는 상황에서 나왔다. 이 때문에 잠정 합의가 실행되면 남중국해를 둘러싼 긴장이 완화될 거란 기대가 나온다. 하지만 남중국해 영유권에 대한 양국의 입장은 변하지 않은 만큼 남중국해를 둘러싼 갈등이 여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파이낸셜타임스(F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필리핀 외교부는 이날 성명에서 "아융인 암초에 있는 시에라 마드레함에 필요한 일상 물자 보급과 병력 교대 임무를 위한 잠정 합의"를 중국과 체결했다고 밝혔다. 성명은 "양측은 대화를 통해 남중국해 상황의 긴장은 낮추고 (양국의 입장) 차이를 관리할 필요성을 인식했다"며 양측 정부 관리들이 필리핀 마닐라에서 일련의 회담을 가진 뒤 잠정 합의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외교부는 자정 이후 발표한 대변인 질의응답 형식의 성명에서 "중국은 최근 런아이자오의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필리핀과 협의를 진행했고, 필리핀과 인도적 생필품 재보급에 대한 임시 합의에 도달했다"며 "양측은 해상 문제에 대한 차이점을 공동으로 관리하고 남중국해의 긴장 완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다만 양측 모두 구체적인 합의문을 공개하지 않았다고 외신은 짚었다.

중국은 육상 및 해상 국경 문제로 여러 국가 특히 남중국해 국가들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최근에는 남중국해 세컨드 토머스 암초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인근에 정박한 시에라 마드레 군함에 대한 필리핀의 접근을 '주권 침해'로 규정하며 필리핀과 충돌했다.

중국 해안 경비대 선박이 3월 25일(현지시간) 남중국해 세커드 토머스 암초에서 시에라 마드레 물자 보급 임무를 수행하던 필리핀 보급선에 물대포를 쏘고 있다. /로이터=뉴스1중국 해안 경비대 선박이 3월 25일(현지시간) 남중국해 세커드 토머스 암초에서 시에라 마드레 물자 보급 임무를 수행하던 필리핀 보급선에 물대포를 쏘고 있다. /로이터=뉴스1
시에라 마드레함은 1995년 중국이 스프래틀리 군도에 군사기지를 짓고 분쟁지역 암초를 요새화한 것에 필리핀이 대응해 1999년 세컨드 토머스 해변에 고의로 좌초·정박시킨 군함이다. 중국은 노후화된 시에라 마드레함에 대한 필리핀의 물자 보급과 수리·보강 지원을 막고자 물대포 등을 이용해 필리핀 해군을 공격했다.


지난 6월17일 중국 해경은 고속보트를 타고 시에라 마드레함에 물자를 보급하려던 필리핀 해군 함정 2척을 공격했다. 이로 인해 필리핀 해군 병사 1명의 오른쪽 엄지손가락이 절단되고, 병사 여러 명이 다치면서 양측의 긴장은 절정에 달했다. 특히 필리핀의 동맹인 미국이 상호방위조약을 발동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해 남중국해 갈등이 미국과 중국 간 충돌로 확산할 거란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외신은 필리핀과 중국 간 이번 합의가 시행되면 중국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베트남 등 다른 국가에서도 무력 충돌을 피할 수 있는 비슷한 합의가 나오는 등 남중국해 긴장이 완화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하지만 이번 합의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불확실하고, 분쟁 지역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 주장이 여전한 만큼 남중국해를 둘러싼 긴장이 완전히 해소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실제 중국은 이번 합의가 필리핀의 '인도주의적 재보급' 임무만 허용하고, 시에라 마드레함의 수리 방안은 허용하지 않는다고 했다. 외교부 대변인은 성명에서 영유권 주장을 되풀이하며 필리핀 측에 시에라 마드레함 견인을 요구했다. 이어 필리핀이 시에라 마드라함에 생필품을 보급하기 전 중국에 먼저 알려야 하고, 현장 검증을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국이 전체 재보급 과정을 '감독'할 것이라며 남중국해에서의 필리핀 군사력 확대를 경계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