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랑 다르네"…아이폰 통화녹음 '이 기능'에 엇갈린 반응

머니투데이 성시호 기자 2024.06.11 15:05
글자크기
애플이 '세계개발자회의(WWDC) 2024'에서 아이폰 전화통화 녹음·받아쓰기·요약 기능을 소개하는 모습./사진=애플애플이 '세계개발자회의(WWDC) 2024'에서 아이폰 전화통화 녹음·받아쓰기·요약 기능을 소개하는 모습./사진=애플


애플이 처음으로 아이폰에 전화통화 녹음기능을 탑재하기로 한 데 대해 한국시장의 분위기는 엇갈렸다. 사용자들은 '17년간의 숙원'이 풀렸다는 반응을 보이면서도 통화 상대방에게 녹음사실을 알리는 건 실사용을 위축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10일(현지시간) 애플은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본사에서 개막한 연례세계개발자회의(WWDC) 기조연설에서 자체 AI(인공지능) '애플 인텔리전스'를 공개하며 음성메모 받아쓰기·요약 기능을 소개했다. 이때 발표자 크레이그 페더리기 애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수석부사장은 "녹음·받아쓰기·요약 기능은 전화 앱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라면서도 "통화 중에 녹음을 시작하면 (아이폰은) 자동으로 녹음사실을 모든 통화자가 알 수 있도록 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페더리기 부사장의 설명이 약 10초에 그친 탓에 아이폰의 전화통화 녹음사실 고지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할지, 모든 국가의 출시모델에 일괄 적용될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일각에선 과거 애플이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안에 따라 한국 시판 아이폰에 카메라 촬영음(셔터음)을 활성화하도록 강제하다가 최근 해외출국자에 한해 무음촬영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돌아선 점에 비춰 한국 내 전화통화 녹음기능에도 유연한 정책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애플은 2007년 첫 아이폰 출시 이래 전 세계 출시모델에 전화통화 녹음기능을 제공하지 않았다. 캘리포니아를 비롯한 일부 미국 주에서 상대방의 동의 없이 전화통화를 녹음하는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한 탓이다. 반면 한국에서 이 같은 녹음행위는 법률상 금지사항이 아니었고, 삼성전자 등 여타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한국 시판모델에 대해 상대방 고지 없는 전화통화 녹음기능을 제공해왔다. 이 때문에 SK텔레콤 (52,400원 ▲200 +0.38%)이 지난해 '에이닷 아이폰 통화녹음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까지 한국시장에선 통화녹음이 삼성 갤럭시 시리즈를 비롯한 안드로이드 OS(운영체제) 탑재 스마트폰의 핵심기능으로 통했다.



아이폰 사용자를 겨냥해 전화통화 녹음서비스를 이미 출시했거나 출시 준비 중인 한국 이동통신업계에선 애플의 동향을 주시 중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애플이 한국어 서비스를 내놓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실제 출시 이후에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은 올 가을 iOS 18을 출시하고 '애플 인텔리전스'의 일부로 전화통화 녹음·받아쓰기·요약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 iOS 18 출시 즉시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최신 아이폰 시리즈 상위기종인 아이폰 15 프로·프로맥스가 필요하다. 애플은 미국 영어로 설정한 사용자부터 애플 인텔리전스를 제공하겠다고 예고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