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패권주의에 대응"…일본·유럽, 배터리 정보 공유 MOU

머니투데이 정혜인 기자 2024.04.22 11:12
글자크기
일본과 유럽이 전기차 배터리의 재자원화(재활용)에 협력한다. 2025년까지 차량용 배터리에 사용하는 광물의 채굴지, 거래처 등의 정보 공유 구조를 만든다. 또 이를 통한 정보 추적으로 리튬 등 희소 광물의 역외 유출을 막고, 재사용으로 연결해 중국의 패권주의적 행보에 대응할 예정이다.

일본과 유럽이 22일(현지시간) 전기차 배터리 재료 관련 정보 공유 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AFPBBNews=뉴스1일본과 유럽이 22일(현지시간) 전기차 배터리 재료 관련 정보 공유 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AFPBBNews=뉴스1


22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 산하 정보처리추진기구(IPA)와 유럽 측은 이날 전기차 배터리 관련 정보 공유 및 상호 인증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이번 협력의 가장 큰 목적은 현재 사용하는 배터리에 활용된 재료의 정보 공유와 추적을 가능하게 해 역외 유출을 막아 배터리 소재 공급망을 장악한 중국에 대응하는 데 있다며 "2025년까지 우라노스 에코시스템(일본)과 케테나X(유럽)를 연계해 (배터리) 소재·부품 구매처와 조달량 등 일본 기업의 핵심 경쟁력과 관련된 기밀을 제외한 자료를 공유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우라노스 에코시스템'은 일본 정부가 개발 중인 독자적 산업 데이터 기반 플랫폼으로 토요타·닛산·혼다 등 일본 대표 자동차 기업 이외 토요타와 파나소닉홀딩스가 출자한 전기차 배터리 업체 프라임플래닛에너지앤드솔루션즈(PPES)·덴소 등 일본 기업 50여 개가 참여할 예정이다. 유럽은 이미 완성차 업체 등이 주도한 민관 데이터 기반 플랫폼 '카테나X'를 구축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 주요 소재인 리튬의 가공·정제 분야에서 중국의 비중은 65%에 달한다. 또 오는 2030년까지 예정된 전 세계 정제공장 신설 계획도 절반가량이 중국에서 이뤄진다. 다른 핵심 재료인 코발트 가공·정제 분야에서도 중국은 76%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흑연의 가공·정제는 모두 중국에서 이뤄지고 있다.

중국 장쑤성 난징의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 신왕다에서 생산한 리튬 배터리 /AFPBBNews=뉴스1중국 장쑤성 난징의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 신왕다에서 생산한 리튬 배터리 /AFPBBNews=뉴스1
중국은 배터리 재료 분야에서의 높은 점유율을 이용해 지난해 흑연 수출허가제를 도입하는 등 패권주의적 움직임을 보인다. 이 때문에 일본, EU 등 세계 각국의 경제안보 관점에서 '배터리 재료 공급망 다양화'가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유럽연합(EU)은 배터리 공급망 안정과 환경보호 등을 목적으로 지난 2월 18일(현지시간)부터 배터리법을 본격 시행해 리튬, 코발트 등 전기차 배터리 소재의 재활용을 역내에서 의무화했다. 해당 규정에 따라 유럽 내 유통되는 배터리는 폐배터리 내 리튬을 오는 2027년까지는 50%를, 2031년까지는 80%를 재활용해야 한다.

닛케이는 "(해외 기업이) 이 규제에 대응하려면 재료의 생산지, 생산 이력, 재활용률, 이산화탄소 배출량 등 공급망 전체의 정보를 기록·관리하는 카테나X와 우라노스 같은 '배터리 패스포트'가 필요하다"며 "우라노스와 카테나X의 상호 인증으로 일본 기업은 국내에서 우라노스 인증을 받으면 자동으로 EU의 인증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양국 배터리 제조업체가 핵심 재료를 공동 조달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효율 배터리 부품의 공동 개발도 가능해진다"며 "향후 중국을 포함한 해외 업체에도 양국이 합의한 공개 규칙을 준수할 것을 요구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