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지킨 고년차 전공의, 3월에 떠나…"의료 '붕괴' 곧 닥친다" 경고

머니투데이 박정렬 기자 2024.02.26 16:31
글자크기

" '의료 붕괴' 막을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 경고음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한지 일주일째인 26일 오전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서 환자들이 대기하고 있다. 2024.02.26. hwang@newsis.com[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한지 일주일째인 26일 오전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서 환자들이 대기하고 있다. 2024.02.26. [email protected]


"의료대란이 아니라 '의료 붕괴' 직전입니다."

26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 응급의학과 A교수는 "수술 지연과 같은 환자 불편을 얘기할 시점은 지났다"며 "당장 다음 주 4년차 레지던트(전공의)와 펠로(전담의)가 빠지면 응급·중증 의료 시스템이 무너지는 병원이 생길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정부와 의사단체의 갈등이 첨예한 가운데 전공의 집단 이탈로 인한 '의료 붕괴'의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경고가 나온다. 고년차 전공의와 전담의가 동시에 나갈 경우 외래·응급→입원→수술로 이어지는 의료 시스템이 한꺼번에 무너져내릴 수 있다. 정부가 비대면 진료, 군(軍)·공공병원 등 비상대응체제를 가동하고 있지만 대학병원이 위주의 중증 의료수요를 전부 감당하기는 버거운 상황이다.



보건복지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23일 오후 7시 기준 국내 주요 100개 수련병원에서 1만34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다. 비율은 80.5%로 이 중 72.3%인 9006명의 전공의가 실제 병원을 떠났다. 현재 사직서를 내지 않은 약 20%의 전공의 대부분은 곧 수련이 끝나는 3, 4년 차 전공의로 알려진다. 지역 국립대병원의 전임의 B씨는 "전공의 수료가 얼마 남지 않았고, 교수에 대한 의리와 환자에 대한 걱정에 고년차 전공의 상당수가 병원에 남아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고년차 전공의는 물론 전공의 과정을 수료한 후 추가 수련을 위해 병원에 남은 전임의의 상당수가 3월이면 '계약 종료'를 맞는다는 점이다. B씨는 "전임의면서 1년 차에서 2년 차로 넘어가는 인력은 교수 등의 관계로 남는다 해도 의대 정원 확대 반발한 나머지 인원은 대부분 계약하지 않고 병원을 떠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그는 "계약이 만료하면 정부의 업무개시명령으로도 붙잡을 수 없다는 걸 이미 잘 알고 있다"라고도 했다.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한지 일주일째인 26일 오전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서 대기하는 환자들 옆으로 의료진이 지나고 있다. 2024.02.26. hwang@newsis.com[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한지 일주일째인 26일 오전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서 대기하는 환자들 옆으로 의료진이 지나고 있다. 2024.02.26. [email protected]
고년차 전공의·전임의가 병원을 나가면 지금보다 훨씬 큰 '의료 공백'이 발생한다. 당장 중증·응급환자 수술부터 구멍이 생긴다. 특히, 전공의와 전임의 비중이 50% 이상인 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 등 이른바 '빅5 병원'은 급격한 수술 건수 감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수도권 대학병원 외과 C교수는 "간호사 등이 교수(의사)의 수술을 보조해도 마취과가 없으면 전신 마취해야 하는 '큰 수술'을 하지 못한다"며 "마취과 인력이 나가고 충원되지 않는 병원은 응급 외에 정규 수술을 아예 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병동에서는 의사가 없으면 의도적으로 입원 환자 수를 줄인다. 입원·수술 등 '배후 진료'에 차질이 빚어지면 응급실도 환자를 원활히 받기 어렵다. 위중한 환자가 오면 초기 응급 처치 후 수술, 입원해야 하는데 이 과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른 병원으로 이송하는 데도 한계가 있다. 응급과 A교수는 "군 병원이나 공공병원, 종합병원은 중증 환자를 보기에 인력·장비가 부족한 곳이 많다"며 "대학병원을 전부 대체하긴 어렵고 그나마 가능한 병원도 곧 환자로 '포화상태'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내과·외과·응급의학과·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 분야 의료진의 '번아웃'(소진)은 또 다른 불안 요소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응급의학과 D교수는 "응급실 인력도 줄고 '배후진료'도 힘든데 중증 환자를 그대로 받다 보면 환자 안전이 위협받고 의료진도 법적 책임을 물을 위험이 커진다"며 "과로와 사법 리스크에 대한 걱정에 전공의 이탈 이후 '사직서'를 낸 교수가 2명 이상"이라고 털어놨다. A교수는 "3월 내로 필수의료 인력 이탈과 각 병원 중증·응급의료 시스템의 '도미노 붕괴'를 막지 못하면 1년 이상 '의료 공백' 상황이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