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살아야 한국도 산다"…산학 전문가가 본 'K-반도체 해법'

머니투데이 한지연 기자, 이재윤 기자, 오진영 기자 2023.06.28 03:55
글자크기

[창간기획-K반도체의 미래를 묻다]③

편집자주 글로벌 '반도체 패권 전쟁'의 시대다. 미국,일본, 대만, 유럽 등 각국이 각축을 벌인다. 반도체는 지난해 한국 전체 수출액의 약 20%(1292억 달러)를 차지하는 주력 산업이다. 한국이 반도체 경쟁력을 잃는 순간 국가적 위기에 빠질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과거 20년 동안 한국을 먹여살린 반도체 산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미래 비전을 모색한다.

"반도체 살아야 한국도 산다"…산학 전문가가 본 'K-반도체 해법'


산업 현장과 연구기관, 증권가 등 몸 담은 곳은 제각각이지만 한국 반도체 산업을 아끼는 마음은 모두 같다. 머니투데이가 각계의 반도체 산업 전문가들에게 한국 반도체가 나아가야 할 길을 물은 결과, 이들은 인재 양성과 반도체 생태계 다양화, 시장 대처능력 강화, 미·중 패권경쟁 등 대외환경에 대한 적절한 정부 대응을 지금의 위기 상황을 해결할 '키'로 꼽았다.

인재 : 반도체 스타 육성이 곧 기술력
글로벌 1위 메모리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 사장 출신인 임형규 창림 대표는 '1000명 반도체 인재 양성안'을 제안했다. 반도체 산업이 결국 엔지니어(기술자)의 실력으로 판가름 난다는 이유에서다. 임 대표는 "반도체 산업 경쟁력은 결국 엔지니어가 결정한다"며 인재 양성이 곧 장기적인 반도체 산업 토양이 될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52시간 근로제 완화와 반도체 인재를 대우하는 사회적 분위기 형성 등 '성과를 내는만큼 보상받는' 인재 육성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업은 기술력 강화하고, 정부는 대외환경 조율 위한 외교 나서야
전문가들은 한국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위한 조언도 내놨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업체는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들은 '잘하는 건 더 잘하자'며 메모리반도체 기술력 강화를 주문하는 동시에 반도체 설계 등 소프트웨어와 시스템반도체 경쟁력 강화도 필요하다고 봤다.

김양팽 산업연구원(KIET) 전문 연구원은 메모리반도체 선두를 지키기 위한 방안으로 기업의 초격차 기술력 확보, 정부는 외교적 노력을 꼽았다. 김 연구원은 "메모리반도체는 10년 후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잘 나갈 것"이라며 최근 들어 빅데이터와 AI(인공지능), 모빌리티 등 다양한 산업에서 메모리반도체 채용이 늘어나고 있다고 봤다. 그는 한국 기업들이 이같은 반도체 응용처 변화에 발맞춰 고대역폭메모리(HBM)을 개발하는 등 적기 투자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 간 반도체 패권 경쟁에 대해서는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협상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압도적인 기술력이 곧 한국 반도체의 대체할 수 없는 지위를 보장해줄 것이라며, 정부가 그것을 믿고 적극 조율에 나서야 한다고 봤다.

한국 반도체를 둘러싼 대외 환경을 외교적 노력으로 극복해야 한다고 본 사람은 또 있다. 공대생으로 SK하이닉스 반도체 연구소에서 근무하다 지금은 증권사 애널리스트로 일하고 있는 도현우 NH투자증권 기업분석부 테크팀장이다. 그는 1980년대 세계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다 몰락한 일본 사례를 교훈삼아야 한다고 보면서 "기술적인 문제보다 외교 정책 문제가 (일본 반도체 산업 후퇴의) 원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도 팀장은 반도체 산업에서 미국의 강한 영향력과, 무시할 수 없는 시장 중국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며 "외교적으로 중립적 입장을 취하면서 실익을 얻는 '슈퍼 을'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운명적으로 미국, 중국 모두와 사이좋게 가야한다"고 했다.

시스템반도체·소프트웨어 강화로 생태계 구조 개선해야
국내 1호 컴퓨터 박사는 메모리반도체 산업에 더해 시스템반도체와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 구조를 더욱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선 메모리에 치우친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문송천 카이스트 명예 교수는 물리적인 반도체 제조 기술만으론 글로벌 시장에서 진정한 경쟁 우위를 갖기 어렵다고 봤다. 한국이 주도권을 갖고 있는 메모리반도체는 중국 기업들이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무섭게 추격하고 있다. 반면 제조보다 기술 진입장벽이 높고 고부가가치 산업인 팹리스(반도체 설계)회사는 미국이 90% 이상 갖고 있다. 한국의 반도체 제조 역시 미국의 원천 기술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문 교수는 "중·단기적으로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기술개발 추격을 따돌리긴 어려울 것"이라며 "(한국 반도체 기업이) 하루빨리 구글이나 애플같은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변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시장 대처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박영준 서울대학교 정기정보공학부 명예교수는 한국 반도체 산업 위기 원인 중 하나로 경쟁국에 비해 시장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점으로 지적했다. 훌륭하고 풍부한 기술에 비해 고객 솔루션을 제공하고 해외 경쟁 기업의 동향을 파악하는 능력이 떨어지다는 것이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최대 경쟁사인 대만 TSMC는 우수 인력들이 애플이나 구글 등 주요 고객사에 진출해 있어 국내 기업들보다 시장 파악에 뛰어나다. 박 교수는 "반도체도 고객을 만족시키는 업종이기 때문에 고객 니즈를 파악해야 하는데 한국은 그런 것이 미흡하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