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변질될 우리의 삶…인생목표 부정되는 좌절 겪을 것

머니투데이 홍재의 기자 2023.05.06 05:06
글자크기

"인간이 적응할 수 있는 변화의 속도를 기술이 추월할 것"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은 낙오되는 미래가 펼쳐질까 두렵다"

AI로 변질될 우리의 삶…인생목표 부정되는 좌절 겪을 것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인해 굉장히 잔인한 일이 벌어질 것 같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변화의 속도다. 사람이 변화에 적응하는 속도라는 게 있다. 그 적응 속도에 맞지 않는 빠른 변화가 우리 앞에 펼쳐질 것이고 적응 못하는 사람에게는 '그냥 적응 좀 하세요'라고 재촉하는 미래가 펼쳐질까 우려된다."

소설가 장강명 작가가 최근 티타임즈와의 인터뷰를 통해 AI시대에 대한 우려 섞인 전망을 내놓았다. <댓글부대> <표백> <한국이 싫어서> 등 시대적 이슈를 다뤄온 장 작가는 SF소설 분야에 있어서도 이름난 작가다. 그가 집필한 SF소설 <알래스카의 아이히만>은 최근 일본 SF 문학상인 '성운상' 후보에 올랐다.



"과학 기술이 인간의 삶이나 사회에 이렇게 영향을 미치는 때가 있었는가 싶다"고 밝힌 그는 AI로 인해 우리의 삶이 '변질'될 것이라 예측했다. AI라는 최신 기술이 우리의 삶을 유토피아로 이끌 것이냐 혹은 디스토피아로 인도할 것이냐는 알 수 없지만 질적인 변화는 불가피하다는 것.

예컨대 소설 집필의 과정도 인간과 AI가 협업하게 되는 것은 물론 효율성이라는 가치에 따라 작업이 재편될 것 같다는 예상이다. 그는 "소설가라는 직업이 기획자, 스토리텔러, 교열자 이런 식으로 쪼개지게 될 것"이라며 "플롯을 잘 짜는 사람, 문장을 잘 다듬는 사람, 총 감독을 잘하는 사람 등으로 인간 소설가의 영역은 축소되는 일이 펼쳐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런 협업 방식이 흔해지고 일반적인 집필 형태가 될 것"이라며 "지금도 대중 소설 중에 유명한 베스트셀러 작가의 이름을 내세우고 있지만 사실은 작가 아래 팀들이 만드는 집필 방식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직업의 의미와 역할이 변질될 미래에 대해 장 작가는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그는 "만약에 인공지능이 엄청난 문학 걸작을 써낸다면
질투심이 아니라 무력감이 느껴질 것 같다"는 솔직한 속내를 드러냈다. 장 작가가 자신의 인생에서 추구해왔던 목표가 부정되는 좌절감을 겪을 것 같다는 설명이다.

장 작가는 AI로 인해 벌어질 우울한 미래를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개진했다. 'AI시대에 세상이 어떻게 바뀔까요?'라는 질문을 던지기 전에 '인공지능 기술을 우리가 어떻게 통제해야 할까요?' 라는 질문을 먼저 던져야 한다는 것. 장 작가는 "프레온 가스, DDT(살충제), 원자력 등 우리는 기술을 통제해 본 경험이 있다"며 "원자력은 국제기구를 만들고 규칙을 만들어 정부도, 대학도, 기업도 감시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떤 기술에 대해 전 국민이 모두 '그건 통제해야지'라고 생각하게 되면 통제가 된다"며 "보통 기술이라는 것은 자생하듯 생겨나고 인간은 거기에 적응을 해야 할 것 같지만 이론적으로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통제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음은 장강명 작가와의 인터뷰 중 일부를 일문일답으로 옮겨 놓은 내용

- 과거에는 SF가 장르 문학이었다. 이제는 기술이 현실로 다가오기 때문에 주류 문학이 되는 것 아닌가?

나는 당대 이슈에 관심이 있는 작가다. 당대 사회에 관심이 많은 작가고. 특히 개인한테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이런 거에 관심이 많다. 그래서 <한국이 싫어서>라든가 <댓글부대>라든가 이런 당대 이슈들을 주제로 많이 삼았다. 2023년에 한국에서 살고 있는, 아니면 지구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이슈들을 생각할 때 과학기술도 진짜 큰 이슈인 것 같다. 특히 인공지능 같은 것들과 증강현실, 예측 분석 기술 등 이 같은 기술이 삶에 영향을 미치는 걸 소설로 써보고 싶다는 욕망을 느낀다.

- AI가 일자리의 미래, 장 작가의 경우라면 소설이나 소설가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 같나?

알파고 때도 AI는 상당히 센세이셔널 한 이슈였다. 다만 알파고가 나왔을 때는 저게 내 삶에 당장 무슨 영향을 미치는지 잘 몰랐었는데 챗GPT가 하는 걸 보니까 진짜 내가 일자리에서 쫓겨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됐기 때문에 그 때보다 지금 더 많은 사람들이 관련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람들이 제일 지키고 싶어 하는 게 뭘까라고 생각해보면 결국 일자리가 아닐까? 뺏긴다는 두려움 앞에서는 사람들이 정말 단결을 할 것이고 인공지능 기술이 전면 도입되면 결국 사람들이 일자리를 지켜야 한다고 주장을 하고 정치 권력에 요구를 하고 그래서 오히려 일자리는 안 줄어들 수도 있지 않겠나라는 생각도 든다. 대신에 사람들이 다른 걸 내줄지도 모르겠다. 그게 바로 소설의 가치, 예술의 의미를 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상상도 들었다.

- 예술의 가치를 지킬 수 있는 '장인'의 길, 분업화 된 소설 제작 분야에서 총감독의 역할을 하는 것 이렇게 두 갈래 길 중 하나를 선택해야 된다면 어떤 쪽을 선택하겠는가?

그 갈림길을 최대한 미루고 싶고, 선택의 날이 안 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갈림길에 서 있을 때 대다수가 자기가 갈림길에 서 있는 줄 잘 모르더라. 이런 저런 작업을 하다 보면 내가 어느 순간 어느 길 위에 서 있을 것 같고, 어느 날 내가 이미 갈림길에서 한 길을 선택했구나 라는걸 깨달을 수도 있을 것이다. 사실은 이 같은 변화가 최근 100~200년 동안 인류가 걸어온 길 같다. 과학 기술 위에서 걸어온 길들. 우리가 어떤 기술이 개발이 되면 기술이 먼저 사람들한테 영향을 미치고, 거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냥 끌려가는 형태가 현대 문명, 과학 문명의 한 특성이었던 것 같다.

※'티타임즈TV'에 오시면 더 많은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