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벤처캐피탈(VC) 업계에 따르면 투자심사역들은 신규 투자보다 포트폴리오사 사후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그린랩스를 비롯해 수산물 배송 플랫폼 업체 '오늘식탁', 다중채널네트워크(MCN) 1위 샌드박스네트워크 등 경영 위기에 직면한 스타트업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한 대형 VC 심사역은 "투자유치 계약서에 주기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경영 현황 자료를 명시해놓고 딱 거기까지만 자료를 받는다"며 "급속도로 자금경색이 발생한 그린랩스의 경우 악성 매출채권을 파악하는 매출전표나 현금흐름표를 봐야 하는데, 사실 소규모 스타트업에게 요구하기 힘들고 2~30개의 투자기업을 관리하는 심사역도 일일이 다 확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최근 들어서는 스타트업에 후속투자를 통한 자금 지원도 거의 끊어진 상태다. 대신 '런웨이'(추가투자 없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기간)을 늘리기 위해 인건비나 마케팅 비용 감축을 요구하는 경우가 흔하다. 한 VC 관계자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어려운 스타트업도 돈만 있으면 살아남을 수 있다고 보고 후속투자가 종종 있었다"며 "요즘엔 스타트업이 경영효율화를 통해 자생력을 먼저 갖추기를 요구하고 정부기관의 대출을 소개해주기도 한다"고 말했다.
VC가 스타트업에 대한 사후관리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모험자본 특성상 일부 투자기업에서 손실을 보는 건 불가피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전체 벤처펀드의 3분의 2가 모태펀드 등 정책금융 출자로 결성되는 만큼, 투자와 사후관리 역량을 두루 갖춰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VC 관계자는 "모든 투자기업이 회수에 성공할 수 없기 때문에 VC가 위기 관리 역량을 갖추는 데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던 것은 사실"이라며 "국내 벤처시장이 정책자금 의존도가 높은 만큼 VC도 사후관리 역량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