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디폴트 위기 급증…中, 돈이냐 이미지냐 '진퇴양난'

머니투데이 김재현 전문위원 2022.12.19 10:54
글자크기
중국이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대출을 통해 스스로 만든 함정에 빠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아프리카 국가들이 연이어 채무상환 위기에 처하면서 중국이 진퇴양난의 국면에 처했기 때문이다.

잠비아의 수도 루사카/사진=블룸버그잠비아의 수도 루사카/사진=블룸버그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대규모 대출로 인해, 중국이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친구'라는 이미지를 유지하면서 자금을 회수해야 하는 딜레마 상황에 처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왕립 국제문제연구소인 채텀하우스에 따르면 아프리카 국가들의 대외 부채는 2000년에서 2020년까지 약 5배 늘어난 6960억 달러(약 905조원)로 증가했으며, 이중 중국이 제공한 대출은 12%를 차지했다. 약 835억 달러(약 109조원)에 달하는 규모다.

채텀하우스는 미국과 서구 국가들이 중국의 아프리카 대출이 불투명하며 채무국의 자산을 담보로 잡고 있다고 비난하지만 이런 경우는 적다고 밝혔다.



이 연구소는 "중국의 아프리카 대출 방식은 역동적인 변화를 거쳤다"며 "인프라와 연관된 아프리카 국가 대상 대출은 자원에 기반한 '방탕한 대출' 방식에서 보다 사업적으로 계산된 방식 또는 지정학적인 판단 쪽으로 전환했다"고 분석했다. 초기에 쉽게 돈을 빌려줬지만 이제는 부채 함정에 빠지게 된 상황이어서 변화가 왔다는 것이다. 또한 "아프리카의 경제적 자산을 수용하기 위한 중국의 약탈적인 대출자 이미지는 대다수 사례에서 성립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2020년 말 이미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한 잠비아의 상위 채권국이며 앙골라, 에티오피아, 케냐 등 현재 채무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가에도 대출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은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영향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아프리카 국가들의 채무 상환 능력을 약화시키면서 아프리카 54개국 중 22개국이 채무상환 위기에 처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아프리카 국가 중 중국에 대한 최대 채무국은 앙골라(426억 달러)이며 에티오피아(137억 달러), 잠비아(98억 달러), 케냐(92억 달러) 순으로 채무가 많다.


(워싱턴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15일(현지시간) 워싱턴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미국-아프리카 리더스 서밋 중 하카인데 히칠레마 잠비아 대통령과 악수를 하고 있다.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워싱턴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15일(현지시간) 워싱턴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미국-아프리카 리더스 서밋 중 하카인데 히칠레마 잠비아 대통령과 악수를 하고 있다.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편 그동안 중국은 개발도상국의 채무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비쳐지면서 비난을 받아왔으며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채무 재조정 논의에서 중국이 가장 큰 장애물이라고 수 차례 언급한 바 있다.

최근에는 중국 역시 다수 개발도상국들의 채무상환을 우려해,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대출 규모를 삭감해 왔다. 중국의 아프리카 국가 대상 신규 대출 규모는 2016년 최고점인 284억 달러를 기록한 후 2019년 82억 달러로 감소했으며, 코로나19 발생 후인 2020년에는 19억 달러로 쪼그라들었다.



한편 중국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채무상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양자 대화를 통한 해결을 추진해왔으나, 최근 다자 대화 참여가 늘고 있으며 빌려준 돈을 돌려받기 위해서는 계속 그래야만 할 것이라고 채텀하우스는 강조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