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잡은 산학연…양식장 지킬 ‘스마트 부이’ 내놨다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21.03.16 09:43
글자크기

저렴한 해양친화적 제품…무한한 바닷물로 전력공급

(주)케이랩스에서 제작한 스마트 부이 시제품/사진=UNIST(주)케이랩스에서 제작한 스마트 부이 시제품/사진=UNIST


“해양특화전지(해수전지)가 적용된 스마트 부이는 어장 위치는 물론 수온, 염도, pH 등 15가지 해양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닷물 속에서 안전한 전력공급이 가능한 만큼 해양에서 다양한 활용이 기대됩니다.”

울산과학기술연구원(UNIST)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공동으로 진행한 ‘2020년 지역 활력 프로젝트 사업’에서 구체적 성과가 나오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주인공은 사업 수혜기업인 ‘케이랩스’다. 이 기업은 해수전지를 적용한 스마트 부이 제품 출시를 앞뒀다. 이는 다양한 해양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다. 바닷물 속 나트륨 이온을 이용해 전기를 충·방전하는 해수전지가 적용됐으며, 3차원(D) 프린팅 방식으로 저렴한 비용에 맞춤 형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김원효 케이랩스 대표는 “기존 고가의 해양관측용 부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하면서도 해양친화적인 제품을 개발했다”며 “향후 사물인터넷(IoT)를 기반으로 한 양식장 자동제어 시스템 개발, 어군탐지기 부착을 통한 어업활동 활성화는 물론 해양 빅데이터 축적을 기반으로 한 해양환경 예측 등 신산업 분야로도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시제품 개발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지역 활력 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UNIST, KIOST 등은 지난해 5월 ‘해양특화 전력공급장치 기반구축 및 해양기기 실증사업’에 선정돼 울산 지역 업체들과 해양특화전지를 적용한 제품 제작 및 실증을 지원하고 있다.

김영식 UNIST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장(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은 “스마트 부이는 대학 실험실에서 개발된 원천기술이 지역 사회의 새로운 산업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며 “부이를 통해 수집될 데이터는 최근 구축된 해양수산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과 연계해 다양한 신산업 창출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차 해수전지는 UNIST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가 2014년 최초로 기술 개발에 성공한 이후 한국전력공사, 한국동서발전, KIOST 등의 지원을 받아 상용화 연구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분야다. UNIST는 지난해 11월 지상 5층, 지하 1층 규모의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를 준공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해수전지 기반 구축을 통해 전지 신뢰성과 생산성을 확보하고, 이를 적용한 실증으로 차세대 에너지 신산업을 주도하고 지역 내 신규 일자리와 매출을 창출해 주력산업 위기극복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