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코로나19 ‘진단·치료·백신’ 3종 완성…‘디지털 댐’ 전방위 확대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21.01.20 12:00
글자크기

과기정통부 20일 새해 업무계획 보고···‘코로나19 극복·디지털뉴딜’ 발전방안 수립

토종 코로나19 ‘진단·치료·백신’ 3종 완성…‘디지털 댐’ 전방위 확대


정부가 타액 만으로 3분 내에 코로나19(COVID-19) 감염 여부를 정밀 진단하는 반도체 진단키트를 이르면 오는 3월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다. 신·변종 바이러스 대응 역량을 강화할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도 하반기 중 설립힌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 회복을 위한 국가 프로젝트인 ‘디지털 뉴딜’과 관련해선 농식품·치안·소방 등 6대 빅데이터 플랫폼을 새롭게 구축해 다양한 데이터 이용 환경을 조성한다. 또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15종을 추가로 구축하는 한편, 오는 2050년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에너지 효율화, 신재생에너지 등의 기술을 개발하는 ‘중장기 로드맵’도 마련하는 등 올해를 기후 기술 혁신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각오다.

◇코로나19 종식할 ‘진단키트·치료제·백신’ 연내 완성=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1년도 업무계획’을 대통령에게 서면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먼저 코로나19 종식을 위해 무증상 감염자의 ‘조용한 전파’를 차단하고, 진단검사 비용을 절감하며, 현장 진단검사 의료인력 부담을 덜기 위해 민감도 95% 이상인 타액 기반 코로나19 진단기기를 오는 3월까지 개발·상용화한다.



또 올 상반기 국산 코로나19 치료제를 의료현장에 공급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현재 약물 재창출로 발굴한 치료제 후보 중 유력 약물인 ‘나파모스타트’, ‘카모스타트’는 임상 2상을 완료했으며, 항체·혈장치료제는 2상을 진행 중이다.

백신의 경우, 해외에서 수입한 백신을 우선 공급하고, 우리 기술로 개발 중인 백신에 대한 전 임상, 해외 임상 등 맞춤형 지원을 통해 연내 개발하는 투-트랙(Two-Track) 전략으로 대응한다.



이밖에 5일 만에 4개 병실과 지원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음압병실’을 4월부터 전국 의료현장에 적용하고, 장기적으로 신·변종 바이러스 대응 역량을 강화할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도 하반기 설립한다.

◇데이터 댐 6개 플랫폼·150종 AI 데이터 추가 구축=향후 디지털 경제 기반이 될 데이터 활용을 최대한 활성화하기 위한 이른바 ‘데이터 댐’ 사업도 박차를 가한다. 과기정통부는 우선 농식품, 해양수산, 디지털 산업혁신, 스마트치안, 라이프로그(Life-Log), 소방안전 등 6대 신규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또 이 같은 플랫폼에 관련 데이터를 생산·공급할 데이터센터도 올해 30개를 추가로 개설하는 등 2021년 누적 기준 180개 센터를 확보할 계획이다. 또 AI가 인지·학습해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말뭉치, 자율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의 AI 데이터 150종을 추가 구축하는 등 2025년까지 총 1300종을 완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85개 시 주요 행정동과 모든 지하철·KTX(고속철도)·SRT(수도권고속철도) 역사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을 집중 구축하고, 통신망 데이터를 중앙서버까지 전송하지 않고 서비스 현장에서 처리하는 5G MEC(Mobile Edge Computing) 기반 공공선도서비스를 안전·방역·원격교육 등으로 중심으로 확대 실시한다. 또 스마트공장처럼 특정 지역 내에서 특정 서비스에 맞춤형으로 사용 가능한 ‘5G 특화망’ 구축사업자를 이통사 외 수요기업까지 확대할 수 있게 정책방안을 마련, 다양한 B2B 특화서비스를 발굴하고 활성화할 방침이다. 5G 기반 AI 응급의료시스템 개발 등 ‘5G+이노베이션 프로젝트’에 1655억 원의 예산을 투자한다. 이밖에 5G 시설 투자 시 투자비용의 3% 세액공제, 6G 핵심기술 개발 등도 추진한다.


복잡하고 방대한 AI 연산에 적합하도록 저장·연산 기능을 통합한 신개념 PIM(Processing-In-Memory) 반도체를 개발하고, 적은 데이터로도 학습 가능하고 타 분야 적용이 가능한 차세대 AI 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기존 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데이터컨트롤타워’로 개편하는 등 디지털 뉴딜 가속화를 위해 거버넌스도 재편한다. 이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지원단 규모, 참여 부처를 늘리고, 각 분과를 설치해 민간의 참여를 도모한다는 점이 기존과 다른 점이다.

◇‘탄소 중립’ 10대 선도기술 발굴·‘누리호’ 10월 발사=‘탄소 기반’ 에너지 경제를 ‘탄소 제로’ 에너지 경제로 대전환하기 위한 탄소 중립 관련 연구개발 예산을 확대하고, 선도기술 확보를 위해 ‘2050 탄소 중립 기술혁신 10대 프로젝트 추진전략’을 3월까지 마련한다. 여기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땅 속에 안전하게 저장하거나 유용물질로 전환해 활용하는 CCUS(탄소포집·저장·활용)와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 개발, 에너지 자원을 분석·예측·관리하는 ‘에너지 클라우드’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우주 분야에선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를 10월에 발사하는 거대 이벤트가 예정됐다. 이를 통해 세계 7번째로 우주에 실용급 중형위성(1.5톤)을 수송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게 된다.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에 따른 ‘고체연료 발사체 발사장’ 구축 사업도 2024년까지 진행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측은 “현재 전남 나로우주센터엔 고체 로켓 부스터의 화염 유도로 등 특수 설비가 갖춰져 있지 않아 별도의 발사장 구축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