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에 수소가 들어온다면? 수소도시 위한 3가지 해결과제

머니투데이 박미주 기자, 박계현 기자, 최민경 기자 2020.10.29 17:22
글자크기
강경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이 2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20 그린뉴딜 엑스포' 컨퍼런스 수소도시에서 수소시범 도시 추진실적 및 향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이기범 기자 leekb@강경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이 2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20 그린뉴딜 엑스포' 컨퍼런스 수소도시에서 수소시범 도시 추진실적 및 향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안전성, 경제성, 수용성'

수소경제 선도국이자 에너지 수출국을 표방하는 한국이 제대로 수소도시를 만들려면 이 3가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진단이다. 아직 수소에너지가 석유나 석탄 등 다른 에너지에 비해 경제성이 낮고, 수소 안전성을 우려하는 사람들까지 많기 때문이다. 여기에 아직 미흡한 제도와 관련 기준 미확립 문제도 선결 과제로 꼽힌다.

29일 '2020 그린뉴딜 엑스포' 컨퍼런스 '수소도시' 세션에서 강경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은 "주거단지에 수소에너지 생산시설을 만든다고 하면 과연 안전할지 의문을 갖는 사람들이 많다"며 "안전성과 경제성, 각종 주거안전 및 건설기준이 뒷받침되는 수용성 등 3가지가 확실히 맞물려야 수소에너지가 도시로 들어올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1호 수소 시범도시인 울산에서도 수소 주거단지가 조성될 예정인데 아직 주거단지 내 수소의 생산·저장·이용에 대한 정부 기준조차 없는 상태다. 강 책임은 "주거안전, 건설기준, 인증 등 기술적·제도적으로 수소 수용성을 높여야 한다"며 "안전관리 시스템과 안전 대응 매뉴얼의 기준도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강 책임은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수소연료전지 효율 향상, 열이용 최적화 등 기술 향상과 함께 에너지 거래제도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한종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신기술연구소장(박사)도 "수소경제 초기엔 수요 창출을 위해 경제성 확보에 주력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수소차와 발전용 연료전지 2가지 축을 통해 기술·산업을 육성해 수소경제로 진입할 계획이다"며 "이때 발전용 연료전지는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RPS) 제도 아래에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가장 큰 관건"이라고 밝혔다. 결국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어야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다.

안국영 한국기계연구원 연구위원, 이재훈 한국가스안전공사 부장, 이광원 호서대학교 교수, 이종수 월간수소경제 부장, 홍광희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연구원(왼쪽부터)이 2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20 그린뉴딜 엑스포' 수소도시 컨퍼런스에서 '수소도시의 주민수용성 및 안전성 확보 방안은?' 패널토론을 하고 있다. / 사진=이기범 기자 leekb@안국영 한국기계연구원 연구위원, 이재훈 한국가스안전공사 부장, 이광원 호서대학교 교수, 이종수 월간수소경제 부장, 홍광희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연구원(왼쪽부터)이 2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20 그린뉴딜 엑스포' 수소도시 컨퍼런스에서 '수소도시의 주민수용성 및 안전성 확보 방안은?' 패널토론을 하고 있다. /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안전성은 수소도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더 중요한 문제다. 수소폭탄을 떠올리는 일반인들에게 "수소는 위험하다"는 인식이 퍼져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메탄보다도 수소의 위험성이 더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울산과 안산, 충청남도 등 지방자치단체들도 "주민들이 안전 문제로 거부감을 가질 수 있다"며 "수소 기반 시설이 안전하다는 인식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울산은 수소 시범도시 공모단계부터 주민설명회를 열고, 충분한 사전 설명과 주민 이해도를 높인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울산은 수소 안전 컨트롤타워인 '수소 통합운영센터'도 만든다.

정부 차원의 수소 안전 강화 제도도 도입된다. 이날 세션에서 '수소도시 건설모델 및 산업 육성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이재훈 한국가스안전공사 부장은 "도시 내 저압수소 인프라 안전 확보를 위한 수소경제법 시행령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수소충전소 안전관리 강화대책을 시행하고 강릉 수소충전소 폭발 사고 후속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연구도 병행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장기적 안전 대책으로는 기체수소보다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는 액체수소 수입을 위한 100톤/일 급 핵심인프라 개념 설계를 연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액체수소 기반의 생산 플랜트와 운반선, 수입터미널·수소발전소 등을 각각 설계하고, LNG(액화천연가스) 인수기지 모델을 활용한 액체수소 수입터미널도 별도로 안전성 평가가 이뤄질 예정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