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극성부리는 온라인 판매 사기, 수법 보니

머니투데이 오세중 기자 2020.03.08 09:38
글자크기
그래픽=이승현 디자인기자그래픽=이승현 디자인기자


"코로나19로 마스크 구매 어려워지니까. 사서 주위분들에게 나눠주려고 대량주문을 했는데..."

한 인터넷 판매 사기 피해자들이 모인 인터넷 카페. 피해자들은 온라인 마켓인 중고나라와 번개장터 등을 통해 마스크를 구입하려다가 판매 사기를 당했다. 적게는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수백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최근 코로나19로 사람들이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인터넷 주문을 이용하면서 인터넷 판매 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 인터넷 사기범들은 지금도 중고나라나 번개장터 등에서 실시간 도용된 아이디로 상품사진을 올리고 있다. 이에 피해자만 계속 늘어나고 있는 상황.



특히,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특수를 누리고 있는 마스크 외에도 고가의 아이패드, 아이팟, 다이슨청소기까지 사기 물품도 다양해지고 있다.

8일 기준으로 인터넷 사기 피해자들이 모인 카페에서 참여한 실제 피해자만 700여명, 액수도 68억원을 넘어선다. 더치트(사기신고사이트)가 집계한 지난해 12월 한달간 인터넷 중고거래 사이트(중고나라, 번개장터, 당근장터, 옥션 등)에서 일어난 사기 피해액만 251억원에 달한다.



카페에서 활동 중인 닉네임 '잡자잡아'님은 이날 "미개봉된 에어팟 무선을 가지고 싶어서 번개장터에서 카톡으로 연락해 구매했다"며 "카톡 프로필에 애기 사진도 있고, 네이버 페이라고 믿고 거래했는데 사기꾼들이 만든 가짜 사이트였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개인쪽지·카톡 등으로 안전거래 유도...구매 위해 가짜 사이트에 정보 입력시 전부 노출
실제로 인터넷 판매사기로 당한 피해자의 결제과정. 사기범인 판매자이 카톡 유도 → 안전거래(택배만 고집) 결제 → 피해자 클릭 순간 가짜 안전거래사이트 화면 → 피해자 자신의 아이디, 비번 입력(정보유출) → 결제후 이체내역 보내면 사기범 결제실패 이미지 전송 → 수수료입금 필수 및 기존입금액 반환된다 속임 → 수수료와 함께 재입금 → 환불정책변경으로 일정 수수료 이상 돼야 환불가능 속이며 계속 입금 유도./자료=피해자 카페 운영진 제공실제로 인터넷 판매사기로 당한 피해자의 결제과정. 사기범인 판매자이 카톡 유도 → 안전거래(택배만 고집) 결제 → 피해자 클릭 순간 가짜 안전거래사이트 화면 → 피해자 자신의 아이디, 비번 입력(정보유출) → 결제후 이체내역 보내면 사기범 결제실패 이미지 전송 → 수수료입금 필수 및 기존입금액 반환된다 속임 → 수수료와 함께 재입금 → 환불정책변경으로 일정 수수료 이상 돼야 환불가능 속이며 계속 입금 유도./자료=피해자 카페 운영진 제공
피해자 카페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이들의 사기수법은 동일했다. 우선 사기를 설계하는 '총책', 사기물품을 등록하고 판매금을 유도하는 '유인책', 피해자가 입금하면 이체내역을 확인 후 바로 출금해 돈을 빼돌리는 '인출책'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인출책 외에는 중국에 거주하는 경우도 많아 검거가 쉽지 않다는 게 경찰청의 설명이다.

이들 사기범들은 이미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아이디를 도용해 중고나라나 번개장터 등 인터넷 사이트에 상품 사진을 올린다.



판매자가 연락이 오면 거주지가 멀다거나 직거래가 힘들고, 택배가 가능하다며 카톡 등으로 안전결제로 유도한다.

이후 판매자가 보낸 네이버페이와 거의 흡사한 사이트를 안전거래 사이트라고 전송한다. 피해자가 아이디랑 비번, 성명, 주소,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순간 개인정보가 유출된다.

또, 피해자에게 이체내역을 확인시켜달라고 요구해 피해자가 입금내역을 보여주면 수수료 미포함을 이유로 재송금을 요청하게 된다. 앞서 받은 돈은 취소로 다시 환불받게 된다고 속이는 것이다.



피해자가 수수료 포함 입금을 재진행 후 이체내역을 확인해주면 가짜 네이버 반환정책 이미지를 제시하면 정책변경으로 일정금액(100만원, 200만원)이상돼야 반환가능하다며 추가입금을 유도한다. 이런 방식으로 2차, 3차의 계속된 송금이 이어지면서 피해자의 사기피해 액수도 커진다.

정부·지자체, 마스크 사재기 단속하지만...판매사기는 속수무책
서울·경기지역 농협 하나로마트에서 마스크 판매가 시작된 1일 오후 서울 하나로마트 양재점에 마스크를 구매하러 온 시민들이 줄지어 서 있다./사진=이동훈 기자서울·경기지역 농협 하나로마트에서 마스크 판매가 시작된 1일 오후 서울 하나로마트 양재점에 마스크를 구매하러 온 시민들이 줄지어 서 있다./사진=이동훈 기자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특히 마스크 사재기 등 마스크 불법 판매·보유 등 사재기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실제 의약품안전처 위해사범중앙조사단은 지난달 10일 인터넷에서 마스크 105만장을 판매하려던 업체를, 서울시는 보건용마스크 제조사와 도매(유통)업체 267곳을 대상으로 집중단속을 실시해 법위반 의심업체 등 25곳을 적발했다.



그러나 문제는 사재기에만 집중하다보니 실제 없는데도 허위로 마스크 등을 올려 송금 받은 후 잠적하는 판매 사기범들에 대해서는 속수무책이라는 점이다.

서울시의 경우도 민생사법경찰단이 마스크 관련 인터넷 업체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지만 조직적으로 가짜 판매상품을 올리는 사람들까지 조사히기에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민사경 관계자는 "마스크 사재기를 유도하기 위해 현장에서 대금을 지불하겠다고 유도를 하고 있다"면서도 "애초 판매상품을 속여 직거래 의사가 없는 사기범들의 경우 카톡 등에서 대화를 이어가다 바로 나가버리기 때문에 조사하기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경찰청 관계자도 "최근 피싱 등 사기범들이 중고나라와 같은 인터넷 장터로 옮겨와 조직적으로 물품 판매 사기를 이어가고 있다"며 "신고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신고 후 2~3달의 조사기간이 걸리겠지만 사기범 검거에 나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