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4조 바이오헬스 정부 투자, 주로 어디에 쓰나?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19.12.18 16:30
글자크기

바이오헬스 R&D 10개 분야 재편…원천‧기반 등 4개 분야 투자전략 우선 제시

자료=과기정통부자료=과기정통부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 강화를 위한 투자 포트폴리오 전략을 내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지난 5월 발표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에서 R&D(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구체적 실천안을 담은 ‘바이오헬스 R&D 투자전략Ⅰ’을 수립했다고 18일 밝혔다.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바이오헬스 분야에 연간 4조 원 이상 투자하겠다는 목표다.

과기정통부는 우선 바이오헬스 R&D 분야를 현 정책과 연계해 △원천‧기반연구 △바이오 융복합 △의약품 △의료기기 △재생의료 △헬스케어서비스 △임상‧보건 △산업혁신‧규제과학 △전문인력 양성 △생명자원‧정보인프라 등 10개 분야로 재편했다.



바이오헬스 R&D 투자전략Ⅰ은 이중 원천·기반연구, 의약품, 헬스케어서비스, 산업혁신·규제과학 등 4개 분야별 정부 R&D 투자전략을 우선 제시한 것이다. 나머지 6개 분야에 대한 ‘바이오헬스 R&D 투자전략Ⅱ’는 내년에 수립할 예정이다.

김성수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우리나라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겠다는 의지가 확고한 만큼, 전략적인 R&D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투자전략Ⅰ의 ‘원천·기반연구’ 분야는 생명현상·질환극복 연구, 바이오 신기술 등 3개 분야로 나뉜다. 관련 예산은 논문‧특허 등 기초연구 성과를 원천기술로 고도화시킬 수 있는 연계 연구 지원을 강화하고, 질병 기전 규명, 질환 극복을 위한 신규 타깃 발굴 등에 주로 쓴다. 특히 바이오 신기술 분야는 초기에 집중지원 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과거 유전자가위기술과 같이 향후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고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에 범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신개념·신기술 R&D에 대한 투자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약품 분야’는 후보물질 도출, 의약품 개발, 공통기반 등 3개 분야로 구성했다. 예산은 신규 핵심 타깃 검증과 초기 파이프라인 발굴에 집중한다. 또 유전자 치료제 생산기술 등 차세대 첨단바이오의약품 원천기술의 혁신기술 개발, 연구자 주도 임상 연구 확충을 지원할 예정이다.

‘헬스케어서비스’ 분야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구축, 활용과 서비스 2개 분야로 나뉜다. 개인 중심의 표준화된 데이터 수집‧구축이 가능하도록 헬스케어 빅데이터 표준화·보안기술 등의 공통 플랫폼 기술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산업혁신·규제과학 분야’는 산업혁신, 규제과학 등 2개 분야로 구성했다. 국제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 생산장비·원부자재·차세대 의료소재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바이오헬스 기술에 대해 차별화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