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고용·소비 활력엔 감세·재정 역할 뚜렷

머니투데이 한고은 기자 2019.11.03 12:00
글자크기

한은, 해외경제포커스…美 민간소비 전세계 GDP 17% 차지…韓, 대미 수출 소비재 경쟁력 높여야

주요 선진국 민간소비 증가율 및 미국의 성장률·부문별 성장기여도. /자료=한국은행주요 선진국 민간소비 증가율 및 미국의 성장률·부문별 성장기여도. /자료=한국은행


고용시장 호조가 민간소비 증가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최근 미국 경제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등이 고용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 미국 민간소비의 호조 배경 및 향후 여건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민간소비 증가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연평균 1.7%(2010~2013년중)에서 최근 5년간 연평균 3.0%(2014~2018년중)로 크게 높아졌다.



최근 5년간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 기여도는 연평균 2.0%포인트로 경제성장의 약 85%(기여율)를 담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들어 지난 2~3분기중 민간소비 기여도는 평균 2.5%포인트를 나타내며 민간투자(-0.7%포인트), 순수출(-0.4%포인트) 부진을 상쇄했다.

민간소비가 호조세를 보이는 배경에는 △기업이익 증가에 따른 노동수요 확대 △저금리 기조에 따른 가계부채 부담 완화 및 주식 등 자산시장 호조에 따른 소비여력 확충 △확장적 재정정책 등이 작동하고 있다.



미국 기업이익은 2000~2007년중 연평균 9318억달러에서 2010~2018년중 1조7448억달러로 늘어나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보다, 구인 기업이 더 많아지면서 고용시장은 노동수요 우위 상황으로 전환됐다. 시간당 임금상승률도 자연히 높아졌다.

적극적 재정지출도 한몫했다. 미국 정부는 글로벌 금융위기 수습 과정에서 재정적자가 쌓이자 2011~2013년 정부지출 증가율을 0% 내외로 유지했는데, 2014~2018년중에는 3.4%로 높였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감세와 정부 재량지출 상한 증액 등 이루어지면서 민간소비를 촉진했다. 미 의회예산처는 2017년 감세 조치로 2018~2022년중 소비 진작에 의한 성장기여도가 연평균 0.6%포인트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는 정부 직접고용뿐 아니라 인프라투자, 감세 등에 따른 민간고용 확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정부부문 취업자수는 2013년 7만명 감소에서 2014년 3만명 증가로 플러스 전환됐고, 이후 10만~20만명 수준의 증가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민간부문은 2013년 227만명 증가에서 2014년 255만명 증가로 증가규모가 커졌고, 지난해 역시 235만명이 늘어나는 등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했다.

보고서는 "미국 민간소비는 세계 명목 GDP의 16.5%를 차지하며 글로벌 성장과 교역을 통해 우리 경제에도 상당한 여향을 미치는 변수"라며 "미국의 소비 여건 변화 가능성에 대비해 제품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시장 개척 등 국내 산업의 대응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관세부과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으로 미국 민간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는 미중 무역갈등과 지난해부터 약세 조짐을 보이며 소비심리에 부정적 효과가 예상되는 미국 주택시장 움직임을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