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아프리카돼지열병 소식에 돼지·닭고기주 'UP'](https://thumb.mt.co.kr/06/2019/09/2019091715400465129_1.jpg/dims/optimize/)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우리손에프앤지 (1,841원 ▼3 -0.16%) 주가는 전날 2335원에서 이날 2840원으로 20% 넘게 상승했다. 선진 (8,630원 ▼10 -0.12%), 윙입푸드 (921원 ▼1 -0.11%), 이지바이오 (3,075원 ▲5 +0.16%) 등도 모두 5∼15%의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동물용 의약품 제조업체 이글벳 (5,460원 ▼10 -0.18%)과 우진비앤지 (1,426원 ▼15 -1.04%), 제일바이오 (1,299원 ▼85 -6.14%) 등은 나란히 상한가를 기록했다.
돼지열병으로 인해 돈육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중국에서도 돼지열병 발병으로 돼지고기 생산량이 급감해 돈육 가격이 10여년 만에 최고치까지 올랐다.
증권업계에서는 돼지고기 관련주들이 당분간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최대 돼지고기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의 돼지고기 가격이 당분간 높게 지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최근까지는 돼지고기 재고가 많이 남아있어 중국 돼지고기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고 유지됐지만 최근 들어 돼지열병으로 인한 공급 층격이 본격적으로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
중국 돼지고기 가격 상승이 전세계 수입육 가격에도 영향을 주는 만큼 우리나라 돼지고기 가격도 인상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국내 양돈관련 업체들의 수익성이 좋아질 가능성이 크다. 김 수석연구원은 "수입육 가격 급등이 시차를 두고 우리나라 돼지고기 가격 상승에 반영된다"고 설명했다.
이날 돼지열병 소식에 돼지고기의 대체재인 닭고기 업체들의 주가도 크게 올랐다. 닭고기 유통·가공 업체 마니커 (1,351원 ▲22 +1.66%)와 마니커에프앤지 (3,280원 ▲15 +0.46%), 하림 (3,240원 ▲15 +0.47%)은 상한가를 기록했다. 체리부로 (1,210원 ▼7 -0.58%), 푸드나무 (8,670원 ▼50 -0.57%) 등도 15∼20% 올랐다. 돼지 집단 폐사 우려가 높아지면서 대체재로 닭고기 업체들이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경기 파주시의 한 돼지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했다. 국내 첫 사례다. 돼지열병은 일단 감염되면 100% 폐사하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아직 백신이나 치료약이 없다.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