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통일부에 따르면 정부는 경기도 파주시의 한 돼지농장에서 발생한 ASF의 발병 원인과 경로를 파악한 다음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북측에 ASF 발생사실 통보 및 방역협력을 요청할 계획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ASF의 발생원인과 경로가 파악돼야 적절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아직 정부가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도 ASF의 발생 사실을 통보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지난 5월 30일 OIE에 자강도 우시군 북상 협동농장에서 ASF 확진 판정이 나왔다고 보고했다. 77마리가 폐사하고 22마리는 살처분했다. ASF는 치료제나 백신이 없어 살처분 외에는 방법이 없다.
정부는 북한의 OIE 보고 다음날인 31일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ASF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협력의 뜻을 북측에 전달했다. 북측은 내부 검토 후 관련 입장을 알려주겠다고 했으나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우리가 방역협력 의사를 전달했을 때 북측은 ‘위에 보고하고 알려주겠다’고 했다. 수차례 이야기해줄 것이 있는 것이 물어봤지만 이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부는 북측에서 방역협력 의사를 밝히는 대로 ASF 확산 방지 조치에 나설 방침이다. 소독제 등 약품 지원과 소독을 위한 긴급방역 인력 파견 등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지난 5월 OIE에 보고한 ASF 발생 사례 외에 추가 신고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이 발병 사실을 OIE에 신고한 이후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고 했다.
남북은 지난해 9월 평양 공동선언에서 방역 및 보건의료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다만 사람에게 전염되는 감염병을 중심으로 합의돼 가축간 전염병 부분은 포함되지 않았다. 정부는 가축질병도 보건협력 차원에서 남북 상호협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